원주환경운동연 중단요구 회견
“효과 미미…세금낭비형 사업…
사전검토협의회 결정 무시하고
저수용량 110만t→180만t 변경도”
“효과 미미…세금낭비형 사업…
사전검토협의회 결정 무시하고
저수용량 110만t→180만t 변경도”
강원 원주시가 도심 하천인 원주천 상류에 홍수 조절용 댐을 건설하려 하자 환경단체가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원주환경운동연합은 27일 오전 원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토교통부 댐 사전검토협의회에선 원주천댐 저수용량이 110만t으로 결정돼 통과됐다. 하지만 최근 원주시는 상급기관의 결정사항을 위반해 저수용량을 180만t으로 바꿨다. 원주시가 180만t 규모의 댐을 건설하려 한다면 원점에서 원주천댐 사전검토협의회를 다시 열어야 한다. 국토교통부도 댐 사전검토협의회 결정을 무시한 원주시에 대해 합당한 행정조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원주시는 홍수 방지를 위해 2020년까지 사업비 470억원을 들여 판부면 신촌리 신촌천 일대에 높이 56m, 너비 292m, 저수용량 180만t 규모의 원주천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원주시는 지난해 9월 댐 사전검토협의회가 끝난 뒤 사업비 421억원을 들여 높이 39m, 너비 183m, 저수용량 110만t 규모의 원주천댐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댐 사전검토협의회 때보다 저수용량 등 댐 규모가 대폭 늘어났다.
또 원주환경운동연합은 원주천댐 건설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은 “원주천댐은 투입 예산에 견줘 효과가 매우 미미한 세금 낭비형 사업이다. 섬강유역종합치수계획에 댐 건설 계획이 있었지만 그동안 추진되지 않았던 것은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효과도 매우 적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강신범 원주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원주천 홍수의 근본 원인은 급격한 도시 확장에 따라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한 채 빠른 속도로 원주천에 몰렸기 때문이다. 댐을 만들면 홍수를 막을 수 있다는 거짓된 선동을 중단하고 광범위한 협의기구를 꾸려 시민적 합의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치완 원주시청 하천시설담당은 “댐 사전검토협의회 결정과 상관없이 사업을 추진하면서 저수용량 등이 다소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관련 내용을 설명한 뒤 협의해나갈 생각이다. 댐 사전검토협의회 등에서 이미 환경단체와 전문가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했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