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들의 외침
고교평준화를 요구하는 강원지역 교사들의 단식농성 사태가 점점 커지고 있다.
김효문 강원교육연대 상임대표가 6일로 23일째 단식농성을 벌이는 가운데 전교조 강원지부 집행부 20명도 이날부터 고교평준화 도입을 촉구하는 단식수업에 동참했다.
강원교육연대와 전교조 강원지부는 단식농성에 들어가면서 “10월말까지 평준화 도입 여부를 결정하고 오는 2007년부터 평준화를 전면 실시해 달라”고 도교육청에 요구했다.
특히 지난 8월 춘천과 원주, 강릉 등지의 교사와 학부모, 학생 등 1832명을 상대로 평준화와 관련해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6.1%가 평준화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교육청을 압박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는 학생 85.4%, 교사 83.1%, 학부모 59.6% 등이 고교평준화를 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교사와 학부모는 입시위주 공부 탈피(36.4%)와 학교교육 정상화(34%)를 위해 고교평준화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학생들은 고교 서열화 해소(29%)를 가장 중요한 이유로 꼽았다.
반면에 응답자의 21.3%는 △성적이 비슷한 학생끼리 모이면 공부를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초·중학교부터 경쟁을 해야 공부를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고교평준화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춘천/김종화 기자 kimjh@hani.co.kr
충청 교원평가 저지 결의 전교조 대전, 충남·북지부는 6일 오후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노조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표준수업시수 법제화 및 법정 정원확보, 교원평가 저지를 위한 충청권 교사 결의대회’를 열었다. 전교조는 이날 대회에서 “교육부가 교육여건 개선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부적격교원 대책에 신체적 질환 등을 가진 교사 퇴출과 교직복무심의위 설치 등 독소 조항을 포함시켜 입법 예고한 것은 잘못”이라고 비난했다. 전교조는 이어 “교육부총리는 특별협의회 합의 사항을 일방적으로 파기하더니 합의가 되지 않더라도 이달 안에 교원평가 시범 실시를 강행한다고 밝혔다”며 “교육부총리는 합의 사항을 지키고 교원평가 시범 실시를 즉각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전교조 성광진 대전지부장은 “정부는 표준수업시수를 법제화하고 법에 규정돼 있는 교원 정원을 확보해야 학교 교육이 정상화될 것”이라며 “교육당국이 독소 조항이 포함된 교원 평가 방침을 철회할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충청 교원평가 저지 결의 전교조 대전, 충남·북지부는 6일 오후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노조원 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표준수업시수 법제화 및 법정 정원확보, 교원평가 저지를 위한 충청권 교사 결의대회’를 열었다. 전교조는 이날 대회에서 “교육부가 교육여건 개선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부적격교원 대책에 신체적 질환 등을 가진 교사 퇴출과 교직복무심의위 설치 등 독소 조항을 포함시켜 입법 예고한 것은 잘못”이라고 비난했다. 전교조는 이어 “교육부총리는 특별협의회 합의 사항을 일방적으로 파기하더니 합의가 되지 않더라도 이달 안에 교원평가 시범 실시를 강행한다고 밝혔다”며 “교육부총리는 합의 사항을 지키고 교원평가 시범 실시를 즉각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전교조 성광진 대전지부장은 “정부는 표준수업시수를 법제화하고 법에 규정돼 있는 교원 정원을 확보해야 학교 교육이 정상화될 것”이라며 “교육당국이 독소 조항이 포함된 교원 평가 방침을 철회할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