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터 매입비 78% 납부했지만
‘오염땅 복원비’ 한·미 이견으로 지연
주민들, 대책위 꾸려 조기반환 운동
‘오염땅 복원비’ 한·미 이견으로 지연
주민들, 대책위 꾸려 조기반환 운동
토양오염 복원비 문제로 강원 원주시의 옛 미군기지인 캠프롱 반환이 미뤄질 조짐을 보이자 주민들이 조기 반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원주시 태장2동 주민자치위원회와 통장협의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 등 단체 7곳의 회원 20여명은 16일 태장2동 주민센터 회의실에서 ‘캠프롱 조기 반환 추진을 위한 주민대책위원회’를 꾸렸다. 대책위는 앞으로 캠프롱 조기 반환 촉구 주민 서명운동, 정부 부처 항의방문 등의 활동을 하기로 했다. 신상운 주민대책위원장은 “캠프롱 때문에 반세기 넘게 지역 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원주 북부권이 낙후됐다. 정부가 토양오염 복원비 문제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1952년 원주 태장동에 창설된 캠프롱은 2010년 6월 폐쇄된 옛 미군기지다. 원주시는 2018년까지 1107억원을 들여 캠프롱 터에 축구장과 국궁장, 야외공연장, 전시관, 박물관, 북카페 등을 갖춘 문화체육공원을 조성할 참이다. 이를 위해 시는 2013년 6월 국방부와 토지 매입 계약을 했으며, 지금까지 캠프롱 터 매입비의 78%인 516억원을 납부했다.
하지만 정부와 미국 쪽의 공여지 반환 협상 과정에서 부대 안 토양오염 복원사업 문제가 불거져 협상 자체가 지연되고 있다. 정부는 환경주권 수호를 위해 토양오염 복원비를 미국이 부담하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미국은 한미행정협정(SOFA)상 오염 치유 기준인 ‘인간 건강의 급박하고 실질적인 위험’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버티고 있다. 협상이 지연되면서 원주시는 내년 6월 국방부에 토지 잔금을 모두 납부하고도 소유권을 넘겨받지 못해 공원을 만들지 못할 상황에 처했다.
권영익 원주시의원은 “국방부는 미국 쪽과 협의해 부지 매입대금 납부 완료 시기까지 토양오염 정화사업을 완료해야 한다. 만약 그때까지 이를 이행하지 못한다면 별도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식 원주시청 도시재생과 주무관은 “지금까지 8차례나 국방부와 환경부, 국무조정실 등을 찾아 캠프롱 조기 반환을 건의했다. 공여지 반환 협상이 늦어지면 2018년께 캠프롱을 시민 품으로 돌려주려는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