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몽골 중국 출신 상담원 3명
전주 다누리콜센터장의 횡포 고발
“지속적 인격 모독·업무 차별” 주장
전주 다누리콜센터장의 횡포 고발
“지속적 인격 모독·업무 차별” 주장
이주여성들을 위해 상담을 해주는 다누리콜센터(옛 이주여성긴급지원센터) 전주 책임자가 센터 상담원들의 인권을 지속적으로 침해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북 전주 다누리콜센터에서 4년11개월을 근무한 이주여성 3명은 22일 오전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아무개 센터장이 그동안 지속적으로 상담원들의 인격을 모욕하고 교육과 업무에서 차별했다. 이 때문에 지난 4월 말 3명이 사직했다”고 밝혔다.
필리핀 출신으로 한국 국적을 취득한 윤지혜씨는 “정 센터장이 자신의 명의로 된 통장에 내가 통·번역 및 외부 강의로 번 돈을 다시 입금하라고 요구했다. 나는 제대로 돈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윤씨가 제시한 통장 입출금 내역에는 2011~2012년 2년간 지방공무원교육원(전북)과 전주출입국관리소 등에서 보낸 강사료 150여만원이 나와 있다.
몽골 출신으로 아이 4명을 키우는 히식자르갈씨는 “지난 4월 정호영 전북도의원 주최 다문화자녀 교육 토론회가 업무시간이 아닌 오후 6시에 열려서 토론자로 참석하려 했다. 하지만 정 센터장이 자신에게 토론회 원고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토론회 참석을 취소시켰다”고 말했다.
지체장애 3급인 중국 출신 상담원 이미화씨는 “목발을 짚어야만 걸을 수 있는 나에게 정 센터장이 2010년 7월 ‘청소기를 돌려라. 나의 지시를 따르지 않으려면 일을 그만둬라’고 강요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원하는 날짜에 휴가를 전혀 사용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전북인권교육센터는 지난 17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냈다.
다누리콜센터 운영을 맡는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은 “물의를 빚은 정 센터장은 지금 대기발령 상태이고, 국가인권위 조사 결과에 따라 조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센터장과는 전화 연결이 되지 않았다.
다누리콜센터(1577-1366)는 2010년 5월에 출범했다. 여성가족부가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 민간위탁했고 전주 등 전국 7곳에 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