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를 치료하는 음압병상을 갖춘 대구의료원 직원들이 의자를 옮기고 있다. 이날 대구에서 메르스 첫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가 나와 대구의료원 격리병동에서 치료 중이다. 대구/연합뉴스
대구지역 시민운동단체 설문조사 결과 86.7% “정부 책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정부에게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구지역 시민운동단체인 우리복지시민연합은 29일 “전자우편과 사회연결망서비스 등 온라인으로 24~28일 메르스 확산 사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메르스 초기 대응 실패와 확산에 대해 전체 응답자 255명의 86.7%가 정부에게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반면 삼성서울병원이나 전문가에게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각각 5.9%와 2.7%에 그쳤다”고 밝혔다.
메르스에 대한 사람들의 불안이 커진 이유에 대해선 ‘정부의 초동 대응 실패와 허술한 방역체계’ 때문이라는 답이 71.0%으로 가장 많았다.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을 늦게 공개한 것은 삼성서울병원 봐주기라는 지적에 대해 81.6%는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삼성서울병원병원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사과에 대해서는 ‘정부 책임을 민간기업에 떠넘기는 것이다’라는 답변이 70.6%에 이르렀다. 반면, ‘잘 한 것이다’라는 답변은 23.5%에 그쳤다.
대구에서 지난 16일 첫 메르스 확진 환자가 발생한 이후 대구시 대책에 대해선 긍정적 평가(35.3%)가 부정적 평가(28.6%)보다 많았다. 메르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 예방 등 국가방역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53.7%가 ‘공공병원을 확충해야 한다’라고 답했다.
대구/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