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2015고용형태 공시제’ 분석
비정규직 8만7천여명…전체의 49%
비정규직 8만7천여명…전체의 49%
부산지역 기업의 정규직 비율이 전체 직원의 절반에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고용노동부의 ‘2015년 고용형태 공시제’를 분석한 결과, 부산의 고용형태 공시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절반이 비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부산의 공시기업 노동자 17만8573명 가운데 정규직은 8만8145명으로 49.36%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56.95%에서 7.59%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비정규직 노동자 비율은 지난해 43.05%에서 49.07%로 6.02%포인트 늘었다. 비정규직 노동자는 기간제 4만8093명(26.93%), 단시간 기간제 1만4734명(8.25%), 용역·파견·하도급 2만4804명(13.89%) 등 모두 8만7631명으로 집계됐다.
고용형태 공시제는 기업들한테 해마다 3월31일까지 고용 형태를 정부 고용정보망인 워크넷(work.go.kr/gongsi)에 입력하도록 해 그 결과를 공개하는 제도다. 올해 부산에선 고용 형태 공시제에 190개 업체가 참여했다. 이 가운데 사업장 규모가 200인 이상 기업이 170개 업체(89.47%)로 나타났다.
민주노총 부산본부 관계자는 “공시제에 참여한 기업 대부분이 200인 이상 기업들이다. 이들 기업이 나쁜 일자리를 양산하는 주범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결과에 견줘 비정규직 비율이 증가한 이유는 기업들이 정규직을 채용하지 않고 기간제·시간제 등 간접고용 방식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 때문에 고용의 질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정부는 간접고용 축소, 비정규직 보호 및 정규직 전환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