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건설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고시하자 경기도 고양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고양지역 시민·사회단체들로 꾸려진 ‘서울문산민자도로 고양시 반대 공동대책위원회’는 10일 오전 고양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토부의 일방적인 실시계획 승인은 원천 무효”라고 주장하며 범시민 반대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대책위원회는 성명서에서 “국사봉 훼손 보전방안 수립 등 9개 사항에 대해 국토부 주관 협의체 회의가 진행 중인데 아무런 대안 제시 없이 국토부가 일방적으로 실시계획을 승인했다. 이는 상호신뢰와 합리적 협의정신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책위원회는 서울-문산 고속도로 건설 과정에 필요한 각종 인·허가 전면 중지, 피해의 심각성을 알리는 공청회 개최, 찬반 주민투표 실시를 국토부에 촉구할 것 등을 고양시에 요구했다. 또 국회에는 일방적인 실시계획 승인 고시에 대한 국정조사와 국회 차원의 공개토론회를 열 것 등 5가지를 요청했다. 대책위 소속 회원들은 기자회견 뒤 각자의 차량에 ‘서울∼문산 고속도로 실시계획 승인 취소’를 촉구하는 펼침막을 내걸고 거리를 달리는 차량시위를 벌였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7일 고양 국사봉 구간(1.9㎞)을 관계기관 협의 결과에 따라 변경 승인한다는 조건으로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건설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승인을 고시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고양시 국사봉 구간 휴게소 외곽 이전과 터널화 방안을 강구하라’는 의견으로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 건설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조건부 승인한 바 있다. 국토부는 주민 반발이 잇따르자 국사봉 등 녹지축 훼손와 지역생활공간 단절, 교통난 해소 등 9개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지역주민대표, 국회의원(심상정·유은혜), 경기도, 고양시, 지에스건설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꾸려 지난 5월부터 7차례 회의를 했다.
서울-문산 민자고속도로는 2조2941억원을 들여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파주시 문산읍 내포리 35.2㎞를 잇는 사업으로 올해 안에 착공해 2020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애초 2017년 개통하려 했으나 노선 갈등으로 3년 가량 늦어졌다. 이 도로는 강매동에서 방화대교에 접속해 서울∼광명간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고양/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