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산업단지에 열공급 에너지 시설
주민 “저오염 LNG발전소 변경” 요구
시의회·환경단체는 인허가 취소 소송
주민 “저오염 LNG발전소 변경” 요구
시의회·환경단체는 인허가 취소 소송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조성중인 장자산업단지에 열 공급을 하는 집단에너지시설로 유연탄을 연료로 하는 석탄발전소 건설이 추진돼 지역주민들과 시의회, 환경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꾸려 석탄발전소 건설을 즉각 중단하고 환경오염이 덜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로 변경할 것을 요구했다.
‘장자석탄발전소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는 26일 “산업단지 조성의 긍정적 취지를 무색케 하는 석탄발전소는 미래세대에 위협이 되는 시설로 즉각 반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집단에너지사업이 애초 입주업체의 열 공급에서 전기 판매가 목적인 석탄발전소로 변질됐다. 석탄발전소가 가동하면 석탄을 실은 대형 트럭 250~300여대가 매일 인천~포천을 운행하게 돼 석탄가루 오염과 교통체증이 발생하고, 하루 250t의 석탄재 처리, 대기오염 등 큰 환경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자산업단지(45만㎡)는 포천지역에 난립한 섬유·가죽 등 염색 가공업체의 집단화를 위해 1835억원을 들여 2009년부터 조성중인 곳으로, 민자 5400억원이 투자돼 700t급 발전용 보일러와 160MW급 증기터빈을 갖춘 집단에너지시설이 올해 착공된다.
포천시의회와 환경운동연합은 산업단지 반경 1㎞ 안 생활쓰레기·하수슬러지 소각장에서 하루 223t 쓰레기가 소각되고 있고, 인근 에코그린산업단지에 하루 360t 규모의 소각로가 건설돼 석탄발전소를 짓지 않아도 공장 열 공급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의회 행정조사특별위원회는 다음달 산업통상자원부를 상대로 인허가 취소 소송에 나설 예정이다.
포천시 관계자는 “주민 동의 절차와 환경영향평가 등을 모두 거쳐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 애초 엘엔지를 추진했으나 기존 입주업체들이 비용 부담 때문에 꺼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석탄을 선택했다. 80개의 굴뚝이 없어지고 하나의 굴뚝만 단속하면 돼 대기 환경이 지금보다 훨씬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