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예산지원 없어 주민 주도로 준비
세계유산 등재되자 시가 추진 나서
추진위 “이제 와서 빠지라고…” 반발
세계유산 등재되자 시가 추진 나서
추진위 “이제 와서 빠지라고…” 반발
전북 익산의 대표적 행사인 ‘서동축제’ 추진 문제를 두고 민간단체와 익산시가 갈등을 빚고 있다.
31일 익산시와 서동축제추진위원회 쪽의 말을 종합하면, 익산시는 서동축제 올해 행사비를 본예산에 확보하지 않았다. 익산시 금마면 주민들은 1969년 마한민속제전에서 유래해 매년 5억원 안팎의 예산으로 치러져온 서동축제가 단절될 위기에 처하자 시장 면담 등을 통해 이를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자 주민들이 지난 4월부터 번영회를 중심으로 축제추진위원장과 위원을 선정하는 등 자체 추진위를 꾸리고, 모금활동을 벌이는 등 주민 주도로 행사를 치르겠다고 나섰다.
하지만 시는 5월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태도를 바꿨다. 시는 6월 말 서동축제 예산 1억원을 책정했다. 백제역사유적지구의 등재가 7월4일 확정되자, 시는 7월21일 전북도에 도비 5000만원을 요청해 8월13일 확보했다.
이때부터 추진위와 익산시가 갈등을 빚었다. 추진위는 예산이 0원인 축제를 주민 주도로 준비해온 만큼, 예산을 추진위에 내려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시는 “그럴 수 없다. ‘천만송이 국화축제’와 함께 치를 것”이라고 밝힌 뒤, 축제 기간을 10월30일~11월8일로 정했다.
추진위에서 활동한 강중근씨는 “그동안 축제 준비를 위해 3분의 2가량 준비했는데 이제 와서 빠지라고 하면 경비 등을 어떻게 감당하느냐. 최근 시는 반대 입장에 있는 추진위원장의 사업체를 보복 단속하는 일도 벌였다”고 말했다. 익산참여연대도 “갈등의 단초를 제공한 당사자는 예산을 단 한 푼도 세우지 않은 익산시다. 추진위와 열린 마음으로 대화해 민관이 협력하는 축제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익산시는 “서동축제 예산을 올 추경에 반영하려 했는데, 결정이 늦어졌을 뿐이다. 국화축제와 같이 개최하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