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미만 건립 허가권
원주 평창 등 10여곳 계획
“신기술이라 환경오염 적다”
주민 반발 움직임 거세
“전국 쓰레기 강원도서 태우나”
최 지사 “반대하면 추진 안해”
원주 평창 등 10여곳 계획
“신기술이라 환경오염 적다”
주민 반발 움직임 거세
“전국 쓰레기 강원도서 태우나”
최 지사 “반대하면 추진 안해”
발전소 건립 허가권(3㎿ 미만)을 가진 최문순 강원지사가 원주와 강릉, 평창 등 도내 10여곳에 고형연료(SRF) 열병합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열병합발전소 건립을 두고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유해성 논란이 일고 있는 고형연료 열병합발전소를 무더기로 유치하려 한다는 비판이 인다.
1일 <한겨레>가 강원도의회 김기홍 의원으로부터 입수한 서면답변서를 보면, 강원도는 ㄱ연구원과 ‘원주와 강릉, 평창 등에 2000억원 규모의 열병합발전소를 추진 중’이다. 가장 먼저 열병합발전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원주 지정면 보통리 열병합발전소(3㎿)가 200억원 규모인 점을 고려하면 10곳 정도에서 발전소를 추진할 수 있는 규모다.
강원도는 ㄱ연구원이 개발한 고형연료를 사용하면 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하더라도 환경오염이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강원도청 한 관계자는 “신기술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적다. 원주 지정면에서 우선 추진하고 있고 강릉 안인화력발전소 인근과 겨울올림픽이 열리는 평창에 우선 열병합발전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다른 곳도 발전소 터를 물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원주지역 주민들은 “환경 유해성이 검증되지 않은 신기술을 앞세워 주민 동의도 없이 발전소 건립을 추진하려 한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해당 지역인 지정면 주민들에 이어 인근 지역인 흥업면 주민들도 반대투쟁위원회를 꾸리고 삭발식을 하는 등 반발 움직임이 거세다. 원주시의회도 최근 전체 의원 간담회를 열어 지정면 발전소 건립에 반대하기로 하고 이런 의견을 강원도에 전달하기로 했다. 최 지사와 함께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인 원창묵 원주시장도 최근 지정면 주민들과 만나 “발전소 사업 허가권을 갖고 있는 도가 건립을 허가하더라도 개별법 등을 통해 발전소 건립을 막아낼 것”이라며 반대 태도를 분명히 했다.
김경준 원주환경운동연합 네트워크활동국장은 “아무리 신기술이라도 해도 나쁜 물질이 나올 수밖에 없다. 결국은 수도권 등 전국 쓰레기를 강원도에 가져와 태우는 꼴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기홍 도의원은 “제대로 검증도 되지 않은 기술을 들여와 강원도 곳곳에 열병합발전소를 만들겠다는 계획 자체가 이해가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최문순 지사는 “ㄱ연구원의 고형연료는 환경오염이 거의 없는 신기술 제품이다. 일반 열병합발전소라면 추진하지 않았다. 나도 다른 열병합발전소라면 반대했을 것이다. 일단 주민들을 만나 설득해보겠다. 그래도 주민들이 계속 반대한다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