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민간인출입통제선 이북지역과 유사시 북한 포격 예상지역의 주민대피시설이 전면 개선된다.
경기도는 정부가 지원하는 도내 접경지역 주민대피시설 55곳 가운데 김포 10곳, 연천 5곳, 파주 3곳 등 18곳을 중점관리시설로 지정해 기능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경기도는 중점관리시설을 2일 이상 중장기 대피용으로 전환하는 한편, 자가발전기·비상급수시설·화장실·샤워실 등을 설치하고 텔레비전·전화기·제습기·인터넷 등 편익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또 평시에는 작은도서관, 안보체험 교육장 등 개방형 주민복지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접경지역 대피시설은 모두 1일 미만 긴급대피용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지난달 20일 북한 포격으로 주민들이 여러날 대피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환경·기능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중점관리시설 외 대피시설 37곳은 해당 시·군에서 관리한다. 경기도내 정부 지원 주민대피시설은 김포 18곳, 파주 14곳, 연천 12곳, 포천 7곳, 양주 3곳, 고양 1곳 등 모두 55곳이다. 고양/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