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에 화력발전소가 추가 건설되면 초미세먼지와 오존 등의 증가로 사망자가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원에는 지금 가동하고 있는 발전소의 5배에 가까운 용량을 갖춘 발전소가 추가 건설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2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발표한 ‘국내 화력발전소 운영에 따른 대기질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제6차 전력수급계획에 포함된 화력발전소를 추가 건설하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초미세먼지 때문에 전국에서 연간 1144명이 기대수명보다 일찍 사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 4762명(2014년 기준)의 24%에 이르는 수치다. 발전소 내구연한을 30년으로 가정할 때 30년간 3만4320명이 초미세먼지 때문에 일찍 사망한다는 추론이 나온다.
특히 강원도는 건강영향평가 척도인 ‘평균(8시간 기준) 오존 최대가중농도’가 환경기준치의 20%(11.74ppb)나 증가해 다른 지역에 견줘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화력발전소가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로 오존이 늘어나면 강원지역의 대기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커 대책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대기 중 오존 농도가 높아지면 눈과 코를 자극하고 불안감과 두통을 유발한다. 정부는 1995년부터 오존경보제를 시행하고 있다.
강원에는 강릉과 동해, 영월 등 세 곳에 1573㎿ 규모의 화력발전소가 가동중이다. 하지만 정부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2019년까지 삼척과 동해, 강릉 등 동해안 남부에만 7414㎿ 규모의 화력발전소가 더 들어선다. 동해안뿐 아니라 원주와 춘천 등 영서권에 열병합발전소 3기가 건설중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최근 동해안의 대규모 산업단지와 발전소 개발이 예정돼 강원은 고농도 미세먼지와 오존 지역이 될 우려가 있다. 개발계획 수립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강원도청 관계자는 “대규모 발전소 허가 자체가 산업통상자원부 권한이고 화력발전소 건설 때 개별적으로 환경영향평가 등을 받을 뿐 지자체 등이 나서 발전소 인근 지역을 묶어 영향분석을 따로 하고 있진 않다. 동해안 남부지역 발전소가 준공되면 지자체 등이 나서 점검해볼 필요는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