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때 경북지역에서 이름 모르게 숨져간 민간인 희생자들을 추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경북도의회는 2일 최병준(새누리·경주) 의원이 발의한 ‘경북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추모를 위한 위령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행정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 조례안은 오는 11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다.
이 조례안은 희생자들이 숨진 경북지역 곳곳에 합동위령비를 세우고, 합동위령제를 지내도록 경북도지사가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희생자 추모를 위한 자료 발굴·수집, 간행물 발간 등의 사업을 추진하거나 행정·재정적 지원도 할 수 있도록 했다.
경북도의회 쪽은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들의 넋을 추모하고, 유가족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민족적인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는데 조그마한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조례안을 발의한 최 의원은 “유감스럽지만 아직도 한국전쟁 당시 숨진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있는 조처가 부족한 편이다. 조례 제정으로 희생자와 유가족의 아픔을 치유해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뤄냈으면 한다”고 말했다.
경북지역에서는 1945년 8월15일부터 한국전쟁 전후 시기에 22개 시·군 지역에서 39개의 사건에 연루돼 민간인 3475명이 숨진 것으로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 결과 확인됐다. ‘영천 국민보도연맹사건’으로 600명이 숨져 가장 규모가 컸고, ‘청도 민간인 희생사건’으로 586명이 희생됐다. ‘포항 국민보도연맹사건(166명)’ ‘영덕 국민보도연맹사건(270명)’ ‘경산 코발트 광산 등지의 민간인 희생 사건 (370명)’ ‘울진 부역혐의 희생 사건(205명)’ 등에서도 엄청난 희생자가 발생했다. 특히 ‘포항 환여동 미군 함포사건(51명)’ ‘경주 기계천 미군 폭격 사건(35명)’ ‘예천 산성동 미군 폭격 사건(51명)’ 등 10곳에서 미군 폭격으로 300여명이 숨졌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