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육청, ‘동학혁명’ 등 교재 발간
초등 55%·중학 89%·고교 91% 활용
국정화 대응 보조교재 전담반 구성
초등 55%·중학 89%·고교 91% 활용
국정화 대응 보조교재 전담반 구성
전북도교육청이 제작해 초·중·고교에 배포한 역사 관련 보조교재를 현장에서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전북교육청은 전북지역 고교 133곳 중에서 올해 역사수업에 <동학농민혁명>을 활용한 학교가 122곳(91.7%),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를 활용한 학교는 120곳(90.2%)이었다고 2일 밝혔다.
도교육청은 동학농민혁명 2주갑(120돌)을 맞은 지난해 11월 <동학농민혁명> 초·중등용 교재 2종을 발간했다. 전북 초·중등 과정에서 단일 역사사건으로는 처음으로 교재를 만들어 혁명정신인 평등·민주·자주를 담았다. 도교육청은 올해 3월엔 일제 때 전북의 수탈과 민족운동을 다룬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초·중등용 교재 2종을 펴냈다. <동학농민혁명>을 활용한 수업은 평균 5시간으로, 현행 검정교과서에서 동학혁명을 갑오개혁과 묶거나 또는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으로 뭉뚱그려 4~6쪽 수준에서 다루는 데 비해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중학교는 209곳 가운데 <동학농민혁명>을 186곳(89.0%),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를 179곳(85.6%)에서 활용했다. 초등학교에서는 415곳 중에서 <동학농민혁명>을 227곳(54.7%),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를 262곳(63.1%)에서 활용했다.
두 교재는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이나 학생동아리 활동 때에도 활용됐다. 특히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 활동 때 <동학농민혁명>을 121곳, <일제강점기 전라북도>를 136곳에서 이용했다. 양항룡 장학사는 “교재와 함께 교사의 역사인식도 중요하다고 판단해 교육연수원에 관련 연수 프로그램을 늘려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전북교육청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대응을 위한 보조교재를 개발하기 위해 조법종 우석대 교수 등 15명 규모로 전담반을 만들었다.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안에 1억6000만원을 편성했다. 정옥희 도교육청 대변인은 “빠듯한 일정이지만 최대한 일정을 지키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는 별개로 <전라북도의 근현대 인물 이야기> 교재를 이달 중으로 발간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