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사업과제 발굴…분쟁 협의
해안침식 대응 등 10개 과제 발표
해안침식 대응 등 10개 과제 발표
강원 동해안 시·군 6곳이 해안침식 등 지역 갈등은 풀고, 산불과 군 철책 철거 등엔 힘을 모으는 ‘동해안 협의회’를 만들었다.
강릉·동해·속초·삼척·고성·양양 등 동해안권 6개 지역 시장·군수는 9일 오전 삼척시청 시민회의장에서 ‘강원도 동해안권 상생발전협의회’를 꾸렸다. 상생발전협의회는 ‘새로운 흐름에 중심에 서자’를 구호로 채택했으며, 동해안 6개 시·군의 공동 사업과제를 발굴하고 분쟁을 사전에 협의하는 구실을 한다.
협의회는 이날 △해안침식 대응 △산림피해 예방 △동해안 군 철책선 철거 △관광마케팅 공동 수립 △양양국제공항 활성화 △선제적 기후변화 대책 △동해북부선 국가철도망 구축 △해수욕장 주차료·시설사용료 등 유료 및 일원화 △2018평창겨울올림픽 참여 △문화·예술 교류 활성화 등 10개 상생·협력 발전과제를 발표했다.
동해-삼척 간 해안침식 갈등을 적극 중재해 해결하고, 앞으로 해안침식 원인 규명부터 국비 지원 요청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동해안은 해안침식 때문에 해변 223㎞ 가운데 41㎞가 유실된 상태다.
산불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도 공동 관심사다. 2000년 동해안 최북단 고성에서 시작된 동해안 산불은 최남단 삼척까지 번져 2만3488㏊를 태우고 85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그동안 시-군 간에 경쟁적으로 진행했던 관광마케팅 사업도 ‘동해안’이라는 틀로 묶어 통합 관광 누리집이나 관광 앱을 개발하기로 한 점도 눈길을 끈다.
김주필 삼척시청 기획담당은 “동해안 6개 시·군은 동해안이라는 수려한 자연환경 자원 등을 보유하고 있어 경제적 잠재가치가 높지만 안보와 각종 규제 때문에 낙후를 면치 못했다. 동해안에서 시작된 긍정적인 변화가 강원도는 물론 나라 전체를 움직이는 동력이 될 수 있도록 협의회를 잘 꾸리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