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명 징계·6명 재임용 탈락
비대위 “김문기 반대 교수들 탄압”
박사 아닌 학사 교원채용 움직임
비대위 “측근 염두” 의혹 제기도
비대위 “김문기 반대 교수들 탄압”
박사 아닌 학사 교원채용 움직임
비대위 “측근 염두” 의혹 제기도
김문기 전 총장의 복귀로 촉발된 상지대 문제가 무더기 징계와 재임용 탈락 사태로 비화하고 있다. 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는 5일 오전 상지대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징계 사유가 될 수 없는 것을 빌미로 교수들을 중징계하려는 안건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하더니 기어코 징계를 강행했다. 또 뚜렷한 이유도 없이 교수들에 대한 재임용 탈락을 결정했다. 이는 김문기 전 총장 반대에 앞장선 교수들을 탄압하려는 조처”라고 비판했다.
앞서 상지학원 이사회는 지난달 30일 이사회를 열어 교수 7명의 징계와 6명의 재임용 탈락을 결정했다. 상지대의 이번 징계 결정으로 김문기 전 총장 복귀 뒤 징계를 받은 교수는 모두 11명으로 늘었다. 11명 가운데 9명이 김문기 반대 투쟁에 앞장선 교수협의회 전·현직 대표이며, 나머지 2명은 교협 회원이다. 재임용에서 탈락한 교수 6명도 모두 교협 회원이다. 상지대가 김 전 총장 반대 투쟁을 했다는 이유로 보복성 징계를 남발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이유다. 교수 240여명 가운데 185명이 부당 징계에 반대하는 서명에 동참하는 등 학내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상지대 비대위는 상지대가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를 전임교원으로 채용하려 한다며 김 전 총장 측근 인사를 염두에 둔 ‘수상한 채용’이라는 의혹도 제기했다. 상지대 교원 인사규정에는 ‘교원 신규 임용은 박사 학위 소지자를 원칙으로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한겨레>는 상지대 쪽의 해명을 들으려고 여러 차례 통화를 시도하고 메모를 남겼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