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두 나라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반대하는 부산 시민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배다지 민족광장 상임의장, 하일민 부산대 명예교수, 방영식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부산본부 공동대표 등 통일과 민주주의를 위해 활동한 부산지역 원로 20여명은 7일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근혜 정부와 일본 아베 정부는 더 이상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과 역사의 정의를 모욕하지 마라”고 규탄했다.
원로들은 “민족정조를 짓밟은 일제의 만행에 대한 용서는 일본 정부의 진솔한 사과와 법적 배상이 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일본 아베 정권은 일본군 위안부와 침략전쟁 속에서 벌어진 범죄행위에 대해 통렬한 반성과 국가차원의 배상을 하라”고 강조했다.
이어 원로들은 “박근혜 정부는 무능한 외교력으로 조급하게 치적을 쌓으려다 지난 24년 동안 싸워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한테 씻지 못할 죄를 지었다. 1965년 박정희 정권이 식민범죄 청산과 법적 배상 청구권 포기 댓가로 3억엔을 받은 한일협정이 떠오른다. 박근혜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국민한테 즉각 사죄하고 재협상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하 명예교수는 “일본은 2차 세계대전 때 반 인륜적인 전쟁범죄 행위를 저질렀다. 피해자들한테 진심어린 사죄와 정당한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한·일 두 나라 정부는 국가적 이익을 앞세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졸속 처리했다. 박근혜 정부는 일본 정부와 역사적 관점에서 이번 합의를 정당하게 다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우리겨레하나되기 부산운동본부 산하 대학생역사동아리는 지난 6일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근처에 있는 정발장군상 앞에서 한·일 두 나라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결과를 규탄하는 부산 수요시위를 열었다. 이어 부산여성단체 연합 등 9개 단체도 이날 일본총영사관 앞에서 손팻말 시위를 했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부산지회와 한국작가회의 부산지회도 지난 5일 부산시청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의 의사와 상관없이 독단적 합의를 한 정부에 사죄와 반성의 목소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관련영상 : 위안부 합의 파문, 누리과정 보육대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