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예천 신도시 행정타운. 사진 경북도 제공
경북도청이 이달 중 대구에서 경북 안동·예천 신도시 행정타운으로 옮겨간다. 1981년 7월 대구가 직할시(현재 광역시)로 승격해 경북도로부터 떨어져 나간 뒤 35년 만이다. 그동안 경북도는 대구광역시를 독립시켜 배출한 ‘큰집’이면서도 계속 대구시 안에 청사를 두고 더부살이 생활을 해왔다.
경북도는 12일 도민안전실 등을 시작으로 19일 도지사실, 21일 행정부지사실과 자치행정국까지 부서별로 나눠 열흘 동안 안동·예천 신도시 새 청사로 모두 옮겨간다고 11일 밝혔다. 경북도에 이어 경북도의회는 15일부터 5일간, 경북도교육청은 15일부터 13일 동안 신도시 새 청사로 이삿짐을 옮길 예정이다. 경북경찰청은 내년에 청사를 옮길 계획이다.
경북도청 등이 들어서는 신도시는 안동시 풍천면과 예천군 호명면에 걸쳐 있으며, 면적은 서울 여의도보다 약간 넓은 10.966㎢이다. 이 가운데 행정타운이 들어서는 1단계 공사는 지난해 6월 이미 기반조성 공사가 끝났다. 행정타운에는 도청과 도의회, 주민복지관, 대공연장 등이 들어서며, 연면적 14만3700㎡,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의 전통 한옥기와 건물 형태로 조성됐다.
경북도에 딸린 지방공기업과 출자·출연기관, 단체 등 130곳도 신도시 이전을 준비 중이며 32곳은 이미 터를 마련해 놨다. 신도시는 앞으로 2027년까지 사업비 2조1500억원을 들여 2·3단계로 나눠 행정중심 복합형 자족도시로 조성될 계획이다.
경북도청이 50년 만에 대구시 산격동에서 경북 안동과 예천시 신청사로 옮기는 가운데 11일 오후 대구시 경북도청 청사 앞에서 트럭들이 이삿짐을 나르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김관용 경북지사는 “신도시 조성은 안동·예천·영주·문경 등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새 도청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이 구미 전자산업 중심의 남부권과 포항 철강산업 중심의 동부권 등과 조화를 이뤄 경북지역 전체의 균형발전을 위한 촉매제 구실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도청 이전에 따른 역효과를 우려하는 시각도 만많찮다. 먼저 신도시가 자리를 잡으면 경제 중심이 안동과 예천의 도심에서 신도시로 옮겨가 도심공동화 현상이 예상된다. 또 신도시 곳곳에 아파트와 오피스텔, 상가를 짓고 있지만 상점이나 병·의원, 약국, 은행 등 편의시설은 찾아보기 어려워 도청 이전이 끝난 뒤에도 오랫동안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도청이 경북 북부지역으로 옮겨가면 경주와 경산·고령·성주 등 동남권 지역이 소외될 가능성도 적잖고, 대구시와 상생협력도 중단될 위기에 놓일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경북도청이 옮겨가면서 남게 되는 대구 북구 산격동의 기존 도청사 터 14만2000㎡를 어떻게 활용할지를 놓고도 격론이 일고 있다.
이상길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기존 경북도청사 터는 마지막 남은 대구의 노른자위 땅이다. 현재 법원과 검찰청사 이전, 대구시청 이전 등 수많은 방안이 제시돼 있다. 연말께 국토연구원의 용역조사 결과가 나오면 이에 따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