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유지·보수업체 대표 폭로
“2011년부터…유흥비 정황 확보”
버스조합 “상호합의서에 따른 것”
“2011년부터…유흥비 정황 확보”
버스조합 “상호합의서에 따른 것”
전북버스운송조합(버스조합)이 교통카드 보수·관리업체한테서 계약 유지를 대가로 다달이 100만원의 뒷돈을 챙겨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버스조합의 교통카드 시스템 유지·보수를 맡는 ㅈ업체 문아무개 대표는 16일 전북경찰청 기자실에서 전북버스조합과 얽힌 비리를 폭로했다. ㅈ업체는 버스조합이 구축한 ‘전북 신교통카드시스템’의 유지·보수를 맡아 2010년부터 전북지역 14곳 시내·농어촌버스 970여대의 교통카드 시스템 유지·보수를 맡아 월 1300만원의 비용을 받았다.
그는 “버스조합이 우리에게 혜택을 준다며 월 유지·보수비용을 2011년부터 350만원 인상해 1650만원으로 결정하고 그 대가로 사례금 월 200만원씩을 요구해왔다. 금액이 너무 커서 월 100만원으로 조정한 뒤 2011년 1월부터 27개월간 버스조합 여직원 명의 계좌로 2700만원을 입금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같은 사실은 버스조합에 새 전무이사가 취임하면서 발각돼, 2013년 5월부터 입금하지 말라는 통보를 버스조합한테서 받고 2015년 12월까지 입금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버스조합은 전무가 그만둔 뒤, 2011년 5월 체결한 ‘교통카드 시스템 유지·보수비 합의서’에 따라 미지급된 2년8개월치 관리비 3200만원을 입금하라고 두 차례 공문을 보냈다”고 덧붙였다.
그는 “밉보여서 좋을 게 없어 그동안 돈을 냈지만, 중단됐던 돈을 일시불로 지급하라는 연락을 받고 더 이상 참을 수 없어 대의를 위해 나섰다. 형사처벌 등 개인적인 불이익을 감수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조합 간부들이 식대 등 유흥비 명목으로 돈을 사용한 정황을 확보했다. 이에 대한 수사가 이뤄지지 않으면 고소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11년 4월부터 2013년 4월까지 버스조합 지출내역 등을 공개했다.
전북버스운송조합 쪽은 이에 대해 “조합 관리시스템을 유지관리하는 비용을 내겠다는 상호 합의서에 따라 이사회에서 공식 결정된 사항을 다시 요청한 것이다. 문제될 게 없다”고 밝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