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포항·군산 등 앞바다에
28년간 육상 폐기물 20㎝이상 쌓여
환경연합 “오염자 부담원칙 적용해야”
28년간 육상 폐기물 20㎝이상 쌓여
환경연합 “오염자 부담원칙 적용해야”
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28년 동안 동해와 서해 바다 3곳에 1억t 이상 육상폐기물이 버려져 폐기물이 바다 바닥에 20㎝ 이상 두껍게 쌓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울산·포항환경운동연합과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8일 기자회견을 열어 “해경과 환경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88년 해양투기량이 공식 기록되고부터 올해 1월 육상폐기물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기까지 부산과 울산 앞바다 ‘동해정’, 경북 포항 앞바다 ‘동해병’, 전북 군산 앞바다 ‘서해병’ 등 3곳의 투기해역에 버려진 육상폐기물 총량은 1억3388만1000t으로 집계됐다. 육상폐기물 투기해역의 바다 밑바닥엔 폐기물이 20㎝ 이상 두껍게 쌓이고, 비교적 최근에 쌓인 3~5㎝ 깊이까지는 그 아래보다 오염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가 공개한 해양수산부의 투기해역 환경모니터링 보고서를 보면, 동해병 해역 폐기물은 산업폐수가 45%(2863만t)로 가장 많았고, 가축분뇨 16%(1043만t), 하수오니 14%(982만7000t), 음식폐기물 12%(736만3000t), 인분 4%(244만9000t) 차례였다. 공해 기업을 위한 폐수처리장으로 전락한 것이다. 이곳에서 잡힌 대게는 비투기해역에서 잡힌 것보다 근육 속 수은 오염도가 무려 11배 이상 높았다.
동해정 해역 폐기물은 인분이 53%(1552만8000t)로 가장 많았고, 가축분뇨 27%(785만t), 준설물 12%(364만1000t), 산업폐수 7%(200만5000t) 차례였다. 동해정 해역이 인분과 가축분뇨로 ‘똥바다’ 수준으로 변했다는 것이다. 특히 수은 2배, 크롬 1.56배 등 중금속 오염도가 비투기해역보다 크게 높았다.
최예용 환경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육상폐기물을 매립·소각·재이용하는 것보다 바다에 버리는 비용이 더 싸다고 여겨 그동안 해양투기가 허용됐는데, 이로 인한 바다와 수산물 오염으로 국민건강과 해양생태계를 망친 사회적 비용은 개별 기업의 이윤을 훨씬 초과한다. 산업계에 오염자 부담 원칙을 적용해 해양생태계 회복에 필요한 비용을 부담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대선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