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시 청사. 사진 강릉시 제공
시장 집무실 줄이고 민간 임대 등
‘공간 다이어트’로 정부 인센티브 받아
‘공간 다이어트’로 정부 인센티브 받아
‘호화·비만 청사’라는 비판을 받아온 강원 강릉시 청사가 개청 15년여 만에 오명에서 벗어나게 됐다.
강릉시는 10일 시 살림살이를 공개하는 ‘재정공시’를 통해 청사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정부의 2016년 지방청사 관리·운영 부문에서 우수 평가를 받아 14억원의 인센티브를 받았다고 밝혔다. 강릉시는 그동안 2001년 신축한 호화청사 탓에 정부로부터 2006년 최고 69억원에 이르는 예산 삭감 조처를 당하는 등 재정적으로 불이익을 받아왔다.
당시 강릉시는 730억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18층에 연면적 3만2153㎡에 이르는 청사를 준공했다. 이는 정부가 인구 20만~30만명의 도시 적정 청사 면적으로 제시된 1만7759㎡보다 94%(1만4394㎡)나 초과한 것이다.
재정 불이익과 함께 여론의 뭇매를 맞은 강릉시는 2011년부터 본격적인 ‘다이어트’에 돌입했다. 청사 면적 기준에 맞추기 위해 가장 먼저 시장 집무실을 157㎡에서 99㎡로 축소했다. 또 청사 15~16층 등 2개층과 1층 일부는 중소기업진흥공단 강원영동지부와 신용회복위원회 강릉상담소, 강원신용보증재단 강릉지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강원지역본부, 농협, 신한은행 등에 임대했다.
또 전산교육장을 시민개방형으로 전환하고 시민휴게실, 민원인 전용 수유실 등을 설치하는 등 직원 사무실을 주민 편의 공간으로 바꿨다. 이 같은 조처로 기준 초과 면적은 3510㎡로 줄었다. 이마저도 2018 평창겨울올림픽 개최에 따른 기구 확대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 올림픽이 끝나면 대부분 민간에 임대할 참이다.
변학규 강릉시청 예산담당은 “이제는 신청사 준공 뒤 이어온 ‘호화 청사’ 논란을 끝내고 새로운 청사 관리·운영 시스템으로 개선해 매년 교부세 인센티브 규모를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