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불발탄·폭격기 추락 사고…
인근 1만여명 주민 60여년 고통
시민 등 경북도·국방부에 이전 촉구
국방부선 “이전 예정지 확보못했다”
인근 1만여명 주민 60여년 고통
시민 등 경북도·국방부에 이전 촉구
국방부선 “이전 예정지 확보못했다”
“지난 60여년 동안 소음 등 온갖 피해를 당했습니다. 이제 공군사격장을 다른 곳으로 옮겨주세요.”
이운식 경북도의원(새누리당·상주)은 14일 경북도의회 임시회에서 낙동 공군사격장을 다른 곳으로 옮겨달라고 경북도와 국방부에 촉구했다.
1953년 미 공군은 경북 상주시 중동면 일대 800만㎡에 낙동 공군사격장을 건설해 사용했다. 우리 공군은 1970년 이 사격장을 넘겨받아 현재까지 전투기 사격훈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낙동 공군사격장에서 반지름 10㎞ 안에는 13개 마을에 3200여가구 1만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이들 주민은 지난 60여년 동안 사격훈련 때마다 집 안에서도 대화를 못할 만큼 소음에 시달려왔다. 이 때문에 소 등 가축이 걸핏하면 유산을 하지만, 이에 따른 보상은 전혀 받지 못했다. 오발탄과 불발탄이 갑자기 날아와 집 지붕이 내려앉는가 하면, 폭격기 추락사고로 인명피해를 당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상주시에서는 이미 2012년 시민단체와 상주시의회 중심으로 꾸려진 ‘공군사격장 추방추진위원회’가 궐기대회를 여는 등 낙동 공군사격장 이전 운동이 거세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이전 불가 방침을 바꾸지 않고 있다.
이 의원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후손들에게 온전히 물려주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공군사격장 이전이 꼭 필요하다. 경북도가 자신의 업무가 아니라며 팔짱만 끼고 있지 말고 국방부 등을 상대로 이전협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임부기 상주시의원도 “낙동 공군사격장은 상주시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상주 지역발전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격장 이전준비위원회를 결성해 경북도와 함께 범도민운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난해 1월 상주시 등이 국방부에 공식적으로 사격장 이전을 요청했지만, 당시 국방부는 이전 예정지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국방부와 협의를 원만히 진행하기 위해 상주시와 공조하겠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