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등 지역여론 비판 높아져
과거엔 취약지역이라 한석씩 배정
과거엔 취약지역이라 한석씩 배정
더불어민주당이 총선 때마다 대구·경북에 당선권으로 한 석을 배정하던 전략지역 비례대표 후보를 이번 총선에서는 배정하지 않았다. 대구 북구을에 출마한 홍의락(61) 의원 ‘컷오프’(공천 배제)에 이어 비례대표 후보 무배정까지 겹치며 더민주에 대한 지역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
이번 총선에서는 대구 6명, 경북 5명, 울산 3명, 강원 2명 등 16명이 더민주 전략지역 비례대표 후보를 신청했다. 대부분 지방선거나 총선에 여러 차례 출마해 낙선한 인물들이다.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지난 8일 대구를 찾아 “앞으로 적극적으로 대구나 영남권에 당세 확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해 대구·경북지역의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하지만 지난 20일 더민주 공천관리위원회(위원장 홍창선)가 발표한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 명단’(43명)을 보면, 대구·경북·울산에서 전략지역 비례대표 후보를 신청한 사람들은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강원 전략지역 비례대표 후보를 신청한 심기준(54) 강원도지사 정무특보만 이름을 올렸다.
전통적으로 더민주 쪽은 총선 때마다 취약지역인 대구·경북·울산·강원을 전략지역으로 정해 5년 이상 활동한 당원에게 비례대표 후보 신청 자격을 주고 있으며, 대구·경북 몫으로 비례대표 후보 1명을 당선권에 배정해왔다. 2012년 홍의락 의원(경북 몫), 2008년 전혜숙(61) 전 경북약사회 회장(경북 몫), 2004년 박찬석(76) 전 경북대 총장(대구 몫) 등이 이런 사례다.
대구참여연대는 21일 성명을 내어 “더민주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명단을 보면, 각종 부정·비리 연루자가 포함된 반면, 대구·경북 전략지역 후보는 없는 등 참으로 가관이다. 더민주의 언어에는 대한민국에 대구·경북은 없고 호남과 수도권만 있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