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전주 후보들 공약 내세워
완주 후보들은 흡수 우려해 반대
1992년부터 세차례 통합 무산돼
완주 후보들은 흡수 우려해 반대
1992년부터 세차례 통합 무산돼
전북 전주-완주 통합이 지역 이슈로 다시 떠올랐다.
새누리당 전주권 후보들은 4·13 총선을 앞두고 ‘전주시·완주군 행정구역 통합’ 재추진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전희재(전주갑), 정운천(전주을), 김성진(전주병) 예비후보는 지난 22일 기자회견을 열어 “60여만명인 전주가 100만 광역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주-완주의 통합이 우선돼야 한다. 새만금 사업의 성공적 완수와 500조원의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유치를 통한 전북 혁신도시의 성공은 ‘100만 전주권’이 이뤄져야 가능하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정동영(전주병) 예비후보도 두 지역 통합 논의에 불을 지폈다. 정 후보는 이달 초 출마를 선언하면서 “전북을 변방에서 중심으로 끌어올리고 두 지역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통합이 필요하다. 전주가 완주 봉동·삼례와 붙고, 나아가 익산과 붙는 북서진 정책으로 가야 한다”며 전주팽창론을 강조했다. 국민의당 장세환(전주을) 예비후보도 “인구 100만명 도시로 만들어 경쟁력을 갖추려면 전주와 완주 통합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완주권 후보들은 반대 입장이다.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예비후보는 “행정 통합의 옳고 그름을 떠나 찬반투표까지 거치면서 주민 갈등이 심각했는데, 얼마 되지 않아 주민 의사를 무시한 채 통합을 꺼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임정엽 예비후보도 “통합이 무산돼 완주군민들에게 상처를 입혔고 치유 중이다. 지금 통합을 거론하면 지역 화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전주-완주 통합은 1992년에 얘기가 나온 뒤 그동안 세 차례 무산됐다. 2013년 6월 실시한 완주 주민투표에서 반대표가 더 나왔다. 인구수는 전주 65만3259명, 완주 9만5343명(2월 말 기준)이다. 두 지역은 원래 완산부, 전주부, 전주군, 전주읍 등으로 불린 한 고장이었으나, 일제강점기인 1935년 전주부와 완주군으로 갈린 이후 1949년 지금의 전주시와 완주군으로 굳어졌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