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총선 후보 대부분이 원자력발전소 추가 건설 계획에 반대하며, 재생에너지 확대와 ‘탈핵기본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지역 3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최근 4·13 총선 예비후보들을 대상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핵 발전·에너지 이용정책에 관한 질의서를 보내서 받은 답변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답변 결과를 보면, 대부분 후보들이 울산에 추가건설 계획인 신고리 5·6호기보다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확대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설계수명을 다한 노후원전 월성 1호기의 조속한 폐로와 핵 위주 에너지정책에서 벗어나기 위한 탈핵기본법 제정에도 대부분 찬성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정갑윤(중구)·이채익(남구갑)·김두겸(울주군), 무소속 박기준(남구갑)·강길부(울주군) 후보는 아예 질의서에 응답하지 않았다. 새누리당 박맹우(남구을) 후보는 월성 1호기 폐로와 탈핵기본법 제정 등에 동의하면서도 ‘대체에너지 조속 확보’ 또는 ‘법안 완성 뒤 검토’ 등 전제조건을 달았고, 모든 핵발전소의 폐쇄 시점에 대해선 ‘대체에너지 확대 시기와 연동’을 내세워 답하지 않았다.
새누리당 안효대(동구)·윤두환(북구) 후보는 핵발전소 폐쇄 시점으로 2050년을 희망해 30년 수명인 핵발전소를 2020년까지 더 건설하거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더불어민주당 이수영(동구) 후보는 2040년, 같은 당 심규명(남구갑)·임동욱(남구을)·정찬모(울주군) 후보와 무소속 송철호(남구을)·김종훈(동구)·윤종오(북구) 후보는 2030년을 희망했다. 노동당 이향희(중구) 후보는 폐쇄 시점을 2030년 12기, 2040년 12기 등 구체적으로 답했다.
탈핵울산시민연대는 “여와 야를 떠나 대부분 후보들이 신고리 5·6호기에 대한 건설 반대와, 대안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탈핵 사회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문제는 절차와 시점인데, 무소속을 포함한 야권 후보들이 재생에너지의 조속한 확대를 통한 핵 위주 사회의 탈출을 적극 표현한 반면, 새누리당 후보들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조속한 탈핵을 희망하는 후보들의 당선을 위해 ‘탈핵벨트 선포’와 ‘탈핵 협약식’ 등 시민들과 함께 지지 캠페인을 할 것이며, 아무런 입장을 표하지 않은 무책임한 후보들에 대해선 낙선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