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율 32%로 전국 12위 불과
사망자는 5년간 122명…전국4위
사망자는 5년간 122명…전국4위
전북지역은 자전거 보유율이 낮지만, 자전거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자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전북경찰청 등의 자료를 보면, 전북에서 5년간(2010~2014년) 3164건의 자전거 교통사고가 발생해 122명이 숨졌다. 이 같은 전북의 자전거 사고 사망자는 경기 280명, 서울 149명, 경북 139명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치다.
부상자도 3146명에 이르렀다. 사고 유형을 보면, 자전거로 인한 가해사고는 536건이 발생해 27명이 사망하고, 532명이 부상을 입었다. 자전거로 인한 피해사고는 2630건으로 95명이 숨지고 2614명이 다쳤다. 평균적으로 날마다 자전거 사고 1.73건에 1.79명이 죽거나 다친 셈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지난 15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전북지역 자전거 대수는 32만4822대로 추정됐다. 전북의 가구당 자전거 보유 대수는 1.45대로 보유율 32.0%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가구당 자전거 보유 대수 1.58대, 보유율 34.7%를 밑돌고 있다. 전북의 자전거 보유율은 전국 시·도 17곳 가운데 12위로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자전거 교통사고는 상대적으로 많다.
자전거 도난·사고 방지와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선 전북에서도 자전거등록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시에서 1999년 처음 도입한 자전거등록제는 현재 전국 지자체 12곳에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전북지역 시·군 14곳에서는 단 한 곳도 시행하지 않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난 1월 국무회의에서 자전거법 개정안이 의결돼 전국 통합 자전거등록제를 내년 1월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하반기에 시행규칙이 발표되면 지자체들이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