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세월호와 관련한 경찰의 행태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김 교육감은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 페친이 메시지로 보내온 글을 해당자의 허락을 받아 세월호와 관련한 글을 게시했다.
해당 게시글을 보면, 최근 한 경찰서 정보관이 전북교육청으로 찾아와 직원에게 세월호 추념행사에서 무엇을 하는지 묻고 자료를 달라고 했고, 해당 직원이 옷에 찬 노란리본 배지를 꼭 달고 다녀야 하는지 등을 물었다고 나온다. 해당 직원은 또 “교육자로서 300여명이 넘게 꽃다운 아이들과 고귀한 생명을 빼앗아간 나쁜나라를 잊지 않고 기억하려고 한다고 했고, (세월호를 다룬 영화인) <나쁜나라>도 관람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김 교육감이 올린 이 글에 누리꾼들은 “그만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유족 뿐이다. 기억의 힘은 강하다.” “나도 뱃지를 달았으니 잡아가라”, “나라가 왜 이 모양인지” 등의 댓글 수십개를 달았다.
김 교육감은 또 누리꾼에 일일이 단 댓글에서 “그런 경찰관들 중에는 확신범(?)도 있다. 지난번 이재명 성남시장님의 머리에 총질을 해대는 현직 경찰도 있지 않습니까. 반대상황이었으면 벌써 징계하고 난리였겠지요”, “ 대한민국은 어디나 마찬가지이다. 5·18상황이 다시 벌어지면 저들은 다시 총질을 한다”고 답했다.
한편 전북경찰청은 교육부로부터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시국선언에 참여한 교원의 징계를 요구받았으나 이행하지 않은 혐의(직무유기)로 김 교육감에 대한 수사를 지난 14일 착수했다.
김 교육감은 18일 확대간부회의에서 “4·13 총선 결과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무상보육(누리과정 예산) 등 정부의 각종 교육정책이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잃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같은 결과에도 정부가 이를 계속 밀어붙인다면 주권자인 국민의 의사를 철저하게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경찰청은 이에 대해 “해당 정보관이 누구인지 알아봤으나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 전북교육청에 해당 정보관을 문의했으나 확인해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