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연구원장에 공무원 계속 선발
대구자유청·의회사무처도 처지 비슷
“퇴직 앞둔 직원에 자리 줘” 비판
대구자유청·의회사무처도 처지 비슷
“퇴직 앞둔 직원에 자리 줘” 비판
공직의 경쟁력을 높이고 효율적인 정책을 수립한다는 취지로 도입한 경북도의 ‘개방형 직위’ 자리를 퇴직을 코앞에 둔 공무원들이 독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무늬만 개방’이라는 비판에도 경북도는 외부채용을 늘릴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18일 “개방형 직위인 제6대 도 보건환경연구원장 임기가 오는 6월말 끝나 후임 원장을 뽑는 공고를 냈다. 22일까지 원서를 받고, 합격자 상대로 면접을 거쳐 신임 원장을 뽑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경북도는 제5대 원장부터 개방형으로 선발했다.
그러나 첫 개방형 원장 자리는 경북도 소속 공무원이 차지했고, 6대 원장도 마찬가지로 내부 공무원이 이어받았다. 이들은 앞서 경북도 환경특별관리단장이나 물산업과장을 지냈다. 7대 원장도 외부 전문가보다는 벌써 도 공무원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다른 개방형 직위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유치전략실장도 공무원이 3명이나 맡았다. 지난해 첫 개방형 직위로 뽑은 도의회 사무처 입법정책관도 내부 공무원 출신이고, 경북축산기술연구소 한우연구실장도 사정은 비슷하다. 도 감사관도 처음에는 감사원 출신 외부 인사를 영입했다가 지금은 도 공무원 출신이 차지했다.
이에 경북도 안팎에서 “도청 내부의 인사 숨통을 틔우기 위해 직위가 한 단계 높은 개방형 직위에 공무원을 임용하거나 퇴직을 앞둔 공무원에게 자리를 주는 관행은 잘못된 행태”라는 비난이 나왔다.
경북도 관계자는 “개방형 직위를 도입해 몇 차례 전문직 채용을 시도해봤지만 전문성은 높은데 조직관리가 허술하거나 사회적 물의 등을 일으켜 말썽이 난 경우가 적잖다”고 털어놨다. 김중권 경북도 자치행정국장은 “개방직 자리를 뽑을 때 공무원 또는 외부 인사를 가리지 않는다. 심사 과정에서 공무원 출신이 전문성만 갖춘 외부 인사보다는 더 많이 선택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