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집회 불허에도 궐기대회 강행…서울시쪽 이시장 이미지 불똥튈라
‘막을 수도 없고, 말려도 말 안 듣고’.
24일 보수우파의 연합체인 ‘자유민주비상국민회의’가 서울시청앞 서울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자 서울시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자유민주비상국민회의는 당초 유엔(UN) 창설 60돌을 맞아 18일과 20일엔 각각 서울역과 대학로에서 집회를 열고 24일엔 서울광장에서 문화행사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강정구 교수 사건’ 등을 계기로 방침을 바꿔 24일 서울광장 문화행사를 취소하고 궐기대회를 연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은 사전에 서울시에 광장사용 허가를 받지 않은 채 집회를 열었다. 서울시는 지난해 11월 민중대회 때 광장 잔디 등 시설물이 훼손된 이후 모든 정치집회에 대해 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서울시 총무과 관계자는 “이들이 서울광장에서 정치 집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열흘 넘게 설득하고 달래왔지만 막무가내였다”며 “차라리 불법 점용료를 내겠다며 버텨 서울시로선 속수무책이었다”고 말했다.
불법으로 광장을 사용할 경우 평소 사용료(1시간에 1㎡당 10원)의 130%를 물게 돼 있어 이들이 1시간에 광장전체(1만1396㎡)를 쓰더라도 17만1548원밖에 되지 않는다.
서울시는 무엇보다도 수구적 성격이 강한 이번 집회가 공연히 이명박 시장의 정치적 이미지에 불똥이 튀길까 염려스러운 표정이다. 이 시장은 최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국가 정체성 위기’를 거론하며 칼을 빼든 것과 달리, 입을 꾹 닫은 채 정치적 견해를 표명하지 않아 왔다. 이 시장은 집회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서울광장 성격에 안 맞는 행사니 최대한 막아보라”고 실무진에 지시를 내렸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