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전문가 자문회의’
“건설방식 `‘트램’으로 바뀌고
서대전역~가수원 구간
충청권 광역철도와 겹쳐”
“건설방식 `‘트램’으로 바뀌고
서대전역~가수원 구간
충청권 광역철도와 겹쳐”
대전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애초 고가철도(자기부상)에서 지상철도(트램) 방식으로 바뀌어 예비타당성조사를 다시 받아야 하고, 서대전역~가수원 구간이 충청권광역철도 구간과 겹치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27일 오후 ‘트램 건설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어 도시철도 2호선의 노선과 경제성·타당성을 높이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자문회의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 1단계와 2단계 구간을 일부 변경하는 방안, 1단계와 2단계는 바꾸지 않고 1단계의 일부 구간 공사를 유예하는 방안 등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는 애초 2호선 노선을 1단계(진잠~정부청사~유성온천역, 28.6㎞)와 2단계(유성온천역~진잠, 7.4㎞)로 나누고 지상고가 방식으로 건설하기로 확정해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까지 통과했다. 그러나 건설 방식이 트램으로 바뀌고, 호남선·경부선 철도에 도시철도를 운행하는 충청권광역철도 가운데 1단계(대전 구간) 사업이 2022년 개통으로 앞당겨지면서 2호선과 노선이 겹치는 문제가 발생한 데 따른 조처다.
시 대중교통혁신추진단은 “2호선 사업은 건설 방식이 바뀌어 예비타당성조사나 타당성 재조사를 다시 통과해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노선이 겹치면 수요가 나오지 않으므로 서대전역~가수원(4.3㎞) 구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이 구간을 2단계(유예)로 변경하는 대신 2단계 가운데 유성온천역~도안(목원대) 구간을 1단계 구간에 포함하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규영 도시철도망구축 담당은 “2호선 사업은 건설 방식 등이 변경되면서 예산이 1조3617억원에서 7천억원으로 줄었고 정부도 먼저 예타 과정에서 사업 타당성을 인정한 만큼 큰 어려움 없이 추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허태정 대전 유성구청장은 “지난달 말 현재 도안신도시 입주민은 1만5416가구, 4만2999명에 달하고 목원대 교직원과 학생도 1만2천여명을 헤아린다. 2호선 1단계 노선을 유성온천역에서 도안까지 연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대전시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 방식인 트램의 시범운영 노선인 ‘스마트트램’(가칭) 노선을 2곳에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트램 노선은 28일 권선택 대전시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밝힐 예정이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