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 단원고등학교 ‘기억교실(존치교실)’ 이전과 관련해 세월호 참사 희생학생 유가족과 재학생 학부모 사이에 빚어진 갈등이 수습국면으로 접어들었다.
4·16가족협의회는 “사회적 합의를 이룬 기억교실 이전과 관련해 제대로 된 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재학생 학부모들과 생긴 오해를 풀었다”고 13일 밝혔다.
4·16가족협의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기억교실 물품의 권리는 유가족에게 있으며, 이에 대한 협의는 유가족과 학교가 진행하겠다는 점을 서로 확인했다. 재학생 학부모들은 총회를 열어 유가족 이외에 누구도 교실 물품을 손대거나 옮길 수 없음을 공유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4·16가족협의회와 재학생 학부모 대표단은 전날 오후 7시 안산교육지원청에서 면담을 갖고, 지난 10일 기억교실을 두고 빚어진 물리적 충돌에 대해서도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갈등을 해소할 열쇠가 될 기억교실 이전 ‘기한’을 두고서는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다. 유가족들은 세월호 인양 및 미수습자 수습 완료 이후를, 재학생 학부모들은 단원고 봄 방학 마지막 날인 15일을 각각 교실 이전 기한으로 제시한 바 있다.
4·16가족협의회는 “지난 9일 단원고, 경기도교육청, 경기도 등 7개 기관이 맺은 협약서는 4·16안전교육시설 건립에 대한 것으로, 교실 이전의 기한에 관한 내용이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 다만 (재학생 학부모 요구대로) 안산교육지원청으로의 교실 이전은 공사 미비로 인해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양쪽은 공사 완료 시기를 다음달 4일께로 보고, 교실 이전 계획과 준비를 동시에 해나갈 수 있도록 협의하기로 했다.
전명선 4·16가족협의회 위원장은 “단원고가 일방적으로 진행한 이삿짐 센터 계약을 해지했다. 이제 우리는 재학생 학부모들의 고충인 교육 공간 부족 등을 인식하고 서로 신뢰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학생 학부모들은 이날 오후 8시부터 단원고에서 총회를 열고 4·16가족협의회와의 면담 결과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안산/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