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부산 “생명·안전 심각하게 위협
시민단체·정치권에 긴급회의 제안”
시 “시민과 함께 반대운동 하겠다”
시민단체·정치권에 긴급회의 제안”
시 “시민과 함께 반대운동 하겠다”
주한미군이 부산에서 생화학무기 대응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데 대해 지역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6·15공동선언실천 부산본부는 18일 성명을 내어 “주한미군이 부산에 설치하려는 ‘주피터 프로그램’ 실험실은 탄저균 등 생물무기 실험을 하는 곳으로,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이에 맞서 강력히 대응할 뜻을 밝혔다. 주한미군은 부산 남구 감만동에 있는 미군 전용 8부두 안에 주피터 프로그램을 시행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주피터 프로그램은 미국의 생화학전 방어체계 구축 프로젝트이다.
6·15 부산본부는 “지난해 서울 용산, 경기 평택·오산, 전북 군산 등 주한미군 기지에 탄저균 실험실이 있다는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는데, 주한미군이 지난해 11월 국방부와 협의해 일방적으로 부산에 탄저균 실험실 설치 결정을 내렸다. 정부는 부산 시민한테 한마디 말도 없이 이를 용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19일 부산의 모든 시민단체와 정치권 등에 긴급 연석회의를 제안한다. 시민들의 힘으로 탄저균 실험실 설치를 막아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시는 이와 관련해 “전담팀을 구성하고 파악된 정보는 시민들에게 공개하며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시민들과 함께 반대 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미 육군 화생방합동관리국은 북한의 생화학무기 위협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주한미군을 통해 주피터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주한미군은 지난해 5월 경기도 오산기지에서 탄저균 실험을 하다 같은 달 27일 탄저균 표본이 살아 있다는 연락을 받고 이를 긴급 폐기했다. 탄저균은 100㎏을 대도시에 살포하면 100만~300만명이 숨질 수 있게 하는 생화학무기다.
탄저균 국내 반입도 몰랐던 정부는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 사고와 관련해 진상 규명, 재발 방지 등 적극적인 개선 노력을 보이지 않고 소극적인 조처로 일관해 거센 비판을 사고 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