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 14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도 남양주 지하철 공사장 폭발사고는 시공사와 협력업체의 느슨한 안전관리·감독과 노동자들의 허술한 작업방식이 원인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남양주경찰서 수사본부는 6일 사고 현장의 교각에 설치된 폐회로텔레비전(CCTV)에 찍힌 사고전 5일치 영상을 분석한 결과 작업자들이 위험물저장소에 가스통을 운반한 사실이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앞서 공사 관계자들도 작업이 끝난 뒤 가스통과 호스를 지하 작업장에 방치했다고 진술한 바 있다.
경찰은 또 현장 노동자들에게서 사건 당일은 물론이고, 평소에도 화재와 폭발사고 위험이나 가스누출 유무 확인에 관한 안전교육을 받은 사실이 없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사고가 난 지하 작업장에는 환풍기나 가스경보기가 없었고, 작업 전 가스농도도 측정하지 않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수사본부는 합동감식반이 사고현장의 메탄과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수치로 확인된 만큼 엘피가스 말고는 다른 원인이 폭발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가스통 관리 책임자와 가스 잔량 조사 등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이어 압수한 자료 분석과 관련업체 조사를 통해 불법하도급 여부 등도 계속 수사할 방침이다.
한편, 이번 사고로 숨진 김아무개(52)씨 등 노동자 4명의 발인식이 이날 오전 유가족의 오열 속에 남양주 한양병원장례식장에서 치러졌다. 유가족들은 그동안 시공사인 포스코건설과 정부에 진정성 있는 사과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성의 있는 사고 수습,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발인을 미뤄왔다. 포스코건설은 지난 4일 밤 정식 사과와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하고 유가족과 보상·장례절차에 대한 논의를 매듭지은 바 있다. 남양주/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