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이용호 의원(가운데) 등 전북 지역 여야 의원들이 지난 8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교육부의 서남대학교 의대 폐과 방침과 관련해 ‘사실상 폐교’로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국민의당 김관영, 더민주 이춘석, 국민의당 이용호, 정동영, 조배숙, 김광수 의원. 새누리당 정운천 의원도 동참했다. 연합뉴스
교육부 ‘옛재단 자구안’대로 발표
대학본부·시의회·지역 국회의원들
“학교를 옛 재단에 돌려주려는 것”
대학본부·시의회·지역 국회의원들
“학교를 옛 재단에 돌려주려는 것”
교육부가 전북 남원의 서남대학교 의대 폐과 검토를 발표하자 해당 대학과 지역사회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서남대 대학본부는 9일 “교육부가 비리로 얼룩진 옛 재단의 정상화계획서를 마치 확정된 사실인 것처럼 발표한 저의가 의심스럽다. 이는 그동안 교육부가 요구했던 (새로 대학을 인수하려는) 재정 기여자의 정상화계획 선결요건을 옛 재단에게는 완화해 주는 것으로, 학교를 옛 재단에 되돌려주려는 모종의 음모로 의심되며 단호히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경안 서남대 총장은 “옛 재단이 최근 제출한 정상화계획서는 계획서일 뿐으로, 관선 이사진과 함께 그동안 해왔던 대로 학내 구성원의 중지를 모아 학교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남대 교수협의회도 “옛 재단의 정상화계획서는 횡령액의 보전에 대한 입장이 매우 모호하다. 서남대와 한려대는 별도 법인인데도 두 대학을 합해서 보는 교육부의 시각은 교비를 횡령한 설립자와 같은 것이다. 서남대 자산은 서남대 구성원들을 위한 것이므로 교육부는 옛 재단의 계획서를 즉각 반려하라”고 촉구했다.
남원시의회도 “대학 경영 부실을 초래한 장본인에게 다시 대학의 운명을 결정짓겠다고 나서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옛 재단의 자구계획안을 여과없이 발표한 것은 대학 구성원의 힘겨운 정상화 노력을 짓밟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앞서 전북지역 국회의원 10명도 지난 8일 국회에서 “서남대 의대 폐과는 물론 남원 캠퍼스 폐교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교육부는 지난 7일 전남 광양 한려대와 전북 남원 서남대 의대에 대해 2018년부터 각각 폐교·폐과 검토 계획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설립자 이홍하씨의 교비 횡령과 부실대학 지정으로 위기에 놓인 서남대의 옛 재단이 학교 정상화 방안으로 한려대를 폐교하고 서남대 의대를 폐과하는 내용의 자구계획을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서남대는 지난해 명지의료재단을 재정 기여자로 선정하고 학교 정상화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명지의료재단이 5년간 8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하며 별 성과를 내지 못하자 자체 정상화 방안을 마련했다. 정상화 방안에는 의대를 폐과하고 녹십자병원 등 약 460억원 규모의 재산을 매각해 교육여건 개선자금을 마련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서남대는 2018년부터 남원캠퍼스는 일부만 평생교육원으로 활용하고 충남 아산캠퍼스만 유지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진행중인 컨설팅을 마친 뒤 이번 정상화 방안의 수용 여부를 결정한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