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경기도 김포~파주 구간 건설사업 시행자인 한국도로공사가 한강하구 습지보호구역에 다리 건설을 추진하자, 파주 지역 환경단체와 주민들이 환경파괴가 우려된다며 노선 변경을 요구하고 나섰다.
환경부와 국방부, 문화재청 등 관계부처도 각각 습지보호구역, 군 작전지역, 철새도래지란 이유로 한국도로공사의 한강 하구 다리 건설안에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협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15일 한국도로공사 등의 설명을 들어보면, 도로공사는 문화재보호구역이자 습지보호구역인 한강 하구와, 수원청개구리(멸종위기종 1급)의 집단 서식지인 월롱면 농경지를 통과하도록 수도권 제2순환로 김포~파주 구간(25.42㎞) 실시설계를 진행 중이다. 도로공사는 2017년 착공을 목표로 지난 1일 주민 공청회를 열었다.
국비 1조2676억원이 들어가는 이 사업은 한강 통과 방법을 두고 정부부처들, 지자체, 국회의원, 환경단체, 주민의 의견이 제각각 달라 2013년 사업 시작 단계부터 진통을 겪었다.
두 지자체와 김포, 파주 운정 주민들은 한강 하구에 다리 건설과 나들목 설치를 요구하는 반면, 환경부와 환경단체는 “한강 하구에 다리 건설은 더 이상 안 된다”며 터널을 뚫거나 일산대교로 우회하라고 맞서고 있다. 파주 월롱 주민들은 농경지에 높이 4m, 폭 24m의 4차로가 가로지르면 마을과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처가 두 동강 난다며 농경지 통과 구간의 교각 설치나 노선 변경을 요구한다.
파주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1일 금촌에서 열린 환경영향평가(초안) 공청회가 일방적인 사업설명회로 진행됐다”며 파주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 재개최를 요구했다.
이 단체 정명희 사무국장은 “한강 하구에 다리를 놓으면 환경파괴는 물론 농경지 훼손, 전통마을(연다산리) 절단 등 파주시민의 큰 피해가 예상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타당성조사에서 한강을 터널로 통과해도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만큼, 생태 보고인 한강 하구 습지보호를 위한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애초 한강 터널 통과안이 검토됐으나 지자체와 지역구 국회의원, 주민들이 나들목 설치를 강력히 요구해 교량으로 추진된 것”이라며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가 요구하는 노선 변경이나 공청회 재개최 요구는 수용하기 어렵고, 농경지 통과 구간은 교량이나 생태통로를 충분히 만들어 단절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도권 제2외곽순환도로는 경기도 화성 봉담~안산~인천~김포~파주~이천~동탄 등을 거쳐 봉담으로 순환하는 총길이 263.4㎞의 고속도로로 2005년 착공됐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