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울산본부 가맹산하조직 대표들이 16일 기자회견 뒤 7월 총파업 결의를 다지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울산 현대중공업 노조가 정부와 회사 쪽이 추진하는 조선산업 구조조정과 설비지원 부문 분사에 맞서 17일 쟁의발생 결의를 하기로 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산하 노조들도 7월 공동 총파업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및 산하 조직, 현대중공업 노조는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대량해고·구조조정으로 고통받는 이들을 지키기 위해 7월 중순 총파업 투쟁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울산본부 등은 “총파업에는 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와 울산지부를 비롯해 건설노조 등 민주노총 울산지역 가맹 산하조직과 대량해고·구조조정의 칼바람을 맞고 있는 현대중공업 노조가 참여한다. 1993년 현대그룹노동조합총연맹(현총련) 공동투쟁 이후 23년만에 현대자동차·중공업 두 거대 노조가 함께 공동 총파업 전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노동단체는 “경제는 재벌과 정부가 망쳤는데 이에 대한 책임 규명은 사라지고, 묻지마 구조조정, 대량해고, 분사와 아웃소싱, 해고 협박을 통한 임금삭감 등 노동자에게만 고통을 강요하고 있다. 특히 자본은 구조조정 여파를 이용해 올해 임금 인상을 거부하며 노동자들의 정당한 요구를 짓밟고 있다. 정부는 재벌 대리인으로 나서 저성과자 해고, 성과연봉제 도입, 임금피크제 등 임금과 노동조건을 하향평준화 시키려 노동개악을 강행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악을 폐기시키고 재벌 정몽구·정몽준의 책임을 전면화하는 투쟁을 통해 한국사회 양극화 주범인 재벌을 개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달 10일부터 회사 쪽과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벌여온 현대중공업 노조는 교섭에 진전을 보지 못한데다 회사 쪽이 과장급 이상 비조합원 희망퇴직에 이어 설비지원 부문 분사 등을 추진하는 데 맞서 17일 대의원대회를 열고 쟁의발생 결의를 하기로 했다. 노조는 앞서 지난 15일 조합원 중앙집회를 열고 분사·아웃소싱 반대와 구조조정 저지를 위해 백형록 위원장 등 지도부 4명이 삭발식을 벌였다. 노조는 쟁의발생 결의 뒤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하고 전체 조합원 투표를 통해 쟁의행위도 결의할 예정이다.
글·사진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