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유희남 할머니. 연합뉴스
국내외 위안부 피해자 중 40명 생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유희남 할머니(88)가 삶을 마감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전체 238명) 중 생존자는 40명(국내 38명, 국외 2명)이 됐다.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 거주하던 유 할머니가 10일 오전 8시23분 국립중앙의료원에서 폐암으로 별세했다고 나눔의 집이 이날 밝혔다. 1928년 충남 아산에서 태어난 유 할머니는 15살 때 일본으로 끌려가는 것을 피하려고 수십㎞를 도망다니다가 붙잡혀 1943년 일본 시모노세키에서 1년 동안 일본군 위안부 생활을 했다. 유 할머니는 2차대전 뒤 귀국해 보따리 장사 등으로 어렵게 생계를 유지했다.
할머니는 위안부 피해 후유증으로 오랜 기간 불면증과 심장질환을 겪다 2009년 폐암 판정을 받았다. 2012년 나눔의 집에 들어간 유 할머니는 일본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해 왕성한 활동을 했다. 지난해 7월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연방법원에 인도에 반한 죄와 명예훼손으로 일왕과, 아베 총리, <산케이신문>, 미쓰비시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냈다. 빈소는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이고 발인은 12일 오전 8시, 장지는 나눔의 집 추모공원이다.
광주/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