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돼있는 대구시 수성구의 한 초등학교 앞에 지하에 묻혀있어야 할 전기선이 인도 밖으로 뻗어져 나와 학생들의 등·하교길이 매우 위험해보인다. 대구안실련 제공
대구지역 초등학생들의 등·하굣길이 매우 위험하다. 학교 주변을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정해놓고 속도제한과 주정차 금지에 과속방지시설과 도로 반사경 설치 등을 하도록 해놨지만, 이를 제대로 지키는 학교가 많지 않다.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대구안실련)은 18일 “대구시내 초등학교 주변 300m에 지정해 놓은 어린이 보호구역 80곳을 대상으로 18개 항목을 제대로 지키는지 조사해봤더니, 어린이 보호구역 표지판이 아예 없는 곳이 3곳, 가로수 등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은 곳이 24곳이나 됐다”고 밝혔다. 또 전체 80곳 가운데 차량 속도제한(시속 30㎞) 표지판이 없는 곳이 22곳, 과속방지턱 시설이 없는 곳은 32곳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안전한 등·하교를 위해 학교 주변 인도와 차도 사이에 방호 울타리를 치게 돼 있는데, 이를 설치하지 않은 곳이 9곳, 관리가 부실한 곳이 15곳으로 조사됐다.
도로 곡각지점에서 마주오는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반사경은 35곳이 설치되지 않았다. 어린이 보호구역 안에 불법 주정차 금지선 표시가 돼있지 않은 학교도 32곳이나 됐고, 주정차 단속 카메라가 없는 학교는 62곳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구안실련은 이 조사 결과를 대구교육청과 대구지방경찰청, 대구시, 대구시의회 등 관련 기관에 보내 시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중진 대구안실련 사무총장은 “어린이 보호구역 관리와 단속 업무가 해당 학교, 교육청, 경찰, 대구시 등 여러 기관에 분산돼있다. 일원화되지 않아 책임소재도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잘못이 시정되지 않으면 어린이들이 사고위험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스쿨존’으로도 불리는 어린이 보호구역은 1995년에 도입됐다. 이곳에서 교통위반을 하면 벌점과 범칙금을 2배로 물어야 한다. 대구지역에는 유치원 343곳, 초등학교 227곳, 보육시설 186곳, 특수학교 10곳 등 모두 766곳이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