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회사 설립 과정에서 고용 승계가 이뤄지지 않은 킨텍스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지난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2층 사장실 앞에서 임창열 사장 면담을 요구하며 농성하고 있다. 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 제공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가 자회사를 설립하면서 기존 용역업체에서 근무하던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고용 승계가 이뤄지지 않아 노동조합이 원직 복직을 요구하며 ‘상복 농성’을 벌이고 있다. 킨텍스는 경기도와 고양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3분의1씩 출자해 만든 국내 최대 규모의 전시컨벤션센터다.
4일 킨텍스와 공공비정규직노동조합 킨텍스분회의 설명을 종합하면, 킨텍스는 지난 6월말 고용 안정과 서비스 개선, 비용 절감 등을 목적으로 자회사 ㈜케이서비스를 설립하고, 외부 용역업체에 맡겨온 주차관리·안내 업무를 이관시켰다. 이 과정에서 기존 직원의 고용 승계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신규 채용’ 절차를 거쳐 2개팀 41명이던 인원을 33명으로 줄였다.
노조 쪽은 “고용 승계가 안 된 비정규직 8명 가운데 개인적 이유로 입사를 포기한 5명을 뺀 3명이 모두 조합원으로 ‘표적 해고’를 당했다”며 “킨텍스가 해고할 만한 사유가 없을 경우 고용승계를 해야 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보호지침을 어겼다”며 지난달 1일부터 킨텍스 전시장 진입로에서 농성을 해왔다. 지난 3일에는 이들 노조원 3명이 상복을 입고 킨텍스 사장실 앞에서 임창열 사장 면담을 요구하다가 업무방해 혐의로 경찰에 연행됐다.
이대희 킨텍스노조 분회장은 이날 고양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주차팀 지원자 27명 가운데 비조합원 17명은 모두 고용 승계됐다. 조합원들만 해고됐다. 킨텍스가 다른 부문의 자회사 편입 확대를 앞두고 노조 길들이기에 나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미수 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국민 세금으로 설립, 운영되는 킨텍스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커녕 노동자 해고에 앞장서고 있다. 킨텍스가 공공기관으로서 공공성을 강화하도록 고양시가 관리감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킨텍스 관계자는 “기존 용역사와 근로계약이 종료된 직원을 자회사가 고용 승계할 의무는 없다. 이들 3명은 해고자가 아니라 신규 채용에서 탈락한 불합격자일 뿐이며, 노조원이라는 이유로 탈락시킨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