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구 강원지방경찰청장(가운데 안경 쓴 사람)과 김정헌 한국드론재난구조단 대표가 17일 오후 강원지방경찰청에서 ‘무인비행장치(드론)를 활용한 실종자 수색 업무지원 협약’을 했다. 강원지방경찰청 제공
“실종자 수색, 이제부턴 드론이 책임집니다!”
강원경찰이 치매노인 등 실종자 수색에 드론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이중구 강원지방경찰청장과 김정헌 한국드론재난구조단 대표는 17일 오후 강원지방경찰청에서 ‘무인비행장치(드론)를 활용한 실종자 수색 업무지원 협약’을 했다. 치매노인 등 실종자가 발생하면 원주에 본부가 있는 한국드론재난구조단의 전문인력과 장비가 실종자 수색 현장에 투입되는 식이다.
강원경찰이 실종자 수색에 드론을 활용키로 한 이유는 강원도 특성 때문이다. 강원도 면적은 1만6866㎢다. 서울(605㎢) 면적의 28배에 가깝다. 면적도 넓지만 인적이 드물고 설악산 등 험준한 산악지형이 많아 실종 사건이 발생하면 수색과 조기발견이 어렵다. 지금까진 수색이 필요하면 기동대와 공무원 등 대규모 인력을 동원해 일일이 의심스러운 지역을 뒤질 수 밖에 없었다. 밤이되면 수색을 중단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드론을 활용하면 적은 인력으로 보다 보다 넓은 지역을 수색할 수 있고, 밤에도 인체 발열을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 등을 장착해 수색을 이어갈 수 있다.
이중구 강원지방경찰청장은 “치매노인 등 실종사건이 크게 늘고 있지만 치매노인 수색은 이동경로 예측이 힘들고 자칫 발견이 늦으면 생명을 잃는 등 사고 위험이 높다. 앞으로 드론을 활용하면 수색이 어려운 산악지역 등에서 효과적이고 신속한 대응체계를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강원도내 치매노인 실종사건은 2012년 128건, 2013년 157건, 2014년 189건, 2015년 224건 등 해마다 큰 폭으로 늘고 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