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감사결과, 급식실 구성원 갈등이 위생·배식 문제로 확대
영양교사·조리원, 관리감독 못한 학교·교육청 관계자 등 징계
영양교사·조리원, 관리감독 못한 학교·교육청 관계자 등 징계
대전 봉산초등학교 부실 급식은 영양교사와 조리원 간 갈등이 악화돼 불거진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시교육청은 18일 오전 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 봉산초 부실급식 특별감사 결과를 발표하고 영양 교사, 조리원, 교장, 교육청 급식담당자 등 관련자 15명에 대해 중·경징계 등 처분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지난달 5일부터 지난 12일까지 시민감사관 3명이 포함된 감사반을 꾸려 봉산초 급식 문제 관한 특별감사를 진행했다.
전성규 시교육청 감사관은 “봉산초 부실 급식 사태는 영양 교사와 조리원 사이의 갈등이 악화되면서 급식실 위생 관리 문제, 조리·배식 문제로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학교장과 지역 교육청 관계자들이 이들의 갈등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감사결과를 보면, 봉산초는 2014∼2016년 급식실 청소를 제대로 하지 않아 반복적으로 위생관리가 허술하다는 지적을 받았고, 보관기간이 오래돼 신뢰할 수 없는 시약봉으로 간이 세균측정을 하는 등 전반적인 급식실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 또 급식예정인원을 정확히 하지 않아 식재료를 급식인원보다 많거나 적게 구매했으며, 조리·배식도 제대로 하지 않아 같은 기간(2014년 3~2016년 6월) 급식인원이 엇비슷한 다른 학교들 보다 버리는 음식이 1.4배 많았다.
일부 조리원이 학생들에게 부적절한 언행을 했다는 의혹도 사실로 드러났다. 시교육청은 조리원의 행동이 학생인권을 침해하는지 여부를 국가인권위원회에 문의하고 필요하면 조사도 의뢰할 방침이다.
급식은 전문 분야라는 이유로 학교와 지역교육청이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영양 교사와 조리원 사이의 갈등이 드러났는데 학교와 교육당국이 이를 조정하려는 노력을 소홀히 해 사태를 키웠기 때문이다. 관리감독청인 대전서부교육지원청 교육장과 담당 국장, 부서장, 급식업부 담당자 등은 영양교사와 조리종사자들간 갈등 민원이 잇따르는데도 이를 소홀히 처리해 조처가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시교육청 감사반은 “급식재료 납품은 문제가 없었다”고 결론냈다.
‘대전 봉산초 학교급식 진상조사위원회’는 지난달 조사를 벌여 “이 학교에 납품된 품목 가운데 무작위로 18개 품목을 선정해 다른 업체들의 납품 단가와 비교했더니 14개 품목이 비쌌으며 일부는 89%나 비싼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힌바 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감사반은 “봉산초 부식의 납품가격은 입찰 공고 때 제시한 조건들에 걸맞는 가격이어서 현행 계약법에 위배되지 않으며 일반 유통 가격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이번 감사 결과에 따라 문제를 일으킨 영양교사와 조리원 2명, 전·현직 학교장 등 5명을 중징계하고, 조리원 4명과 서부교육지원청 급식업무 담당자 등 5명은 경징계, 서부교육지원청 교육장 등 5명은 경고 등 조처하기로 했다.
전 감사관은 “급식문제 재발을 막기 위해 신선한 고품질 식품을 구매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조리원은 정기적으로 순환근무제를 실시하겠다. 급식 종사자를 대상으로 학생인권침해 예방교육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