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양주 시민 100여명이 8일 서강대 정문 앞에서 “서강대는 남양주 캠퍼스 조성사업 협약을 지키라”며 항의집회를 열고 있다. 남양주시 제공
경기도 남양주시 양정역세권 개발의 핵심사업인 서강대 남양주 캠퍼스 조성사업이 학내 갈등으로 삐걱대면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남양주 시민들로 꾸려진 ‘양정역세권 개발 주민대책위원회’ 100여명은 8일 서강대 정문과 예수회센터 앞에서 항의집회를 열어 “서강대가 처음부터 양정역세권 개발사업에 참여하지 않았으면 벌써 사업이 완료됐을 것이다. 6년 넘게 규제에 묶여 아무런 재산권 행사를 못 해 더 지연되면 길바닥에 나앉게 된다”고 하소연했다. 이형중 대책위원장은 “서강대가 시간만 끌고 있어 답답하다. 학교에서는 기다리라고 하는데 주민들은 하루가 급하다”고 말했다.
서강대와 남양주시는 애초 2020년 개교를 목표로 28만여㎡ 규모의 남양주 캠퍼스를 조성하기로 2010년 양해각서를 교환한 데 이어 2013년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캠퍼스가 비좁아 수도권 제2캠퍼스가 필요한 서강대와, 양정역(경의중앙선) 일대에 대학과 연구단지, 주거단지(1만1523가구), 상업시설을 갖춘 복합단지를 지어 자족도시로 꾸미려는 남양주시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것이다.
2014년 12월 서강대 제2캠퍼스를 유치한다는 조건부로 양정동 일대 복합단지 개발 부지(176만여㎡)의 97%에 해당하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 해제됐고,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까지 마쳤다.
이에 서강대가 제2캠퍼스 건립을 위해 일부 정원을 남양주로 이전한다는 ‘대학 설립위치 변경계획서’를 교육부에 제출해 절차를 밟으면 된다. 하지만, 서강대 이사회는 “남양주시의 개발이익금 지원과 동문회 모금 등 약속만 믿고 사업을 진행하는 건 곤란하고, 이동 학생에 대한 학내 구성원들의 동의도 받아야 해 신청안을 일단 보류한다”며 지난 7월 승인안을 부결시켰다.
이 때문에 남양주시는 도시개발사업구역 지정은 물론 착공과 보상 절차도 시작하지 못하는 등 사업 전체가 발이 묶인 상태다. 김상수 남양주시 도시융복합팀장는 “경쟁력 있는 대학도시 조성을 위해 서강대 유치가 필요한 만큼 학교 쪽과 협의를 통해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