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부산으로 본사를 옮긴 금융분야 공공기관 임원 3명 가운데 1명만 부산으로 주소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부산 연제)은 27일 “부산으로 본사를 옮긴 금융분야 공공기관 4곳에서 제출받은 ‘주요 임원의 부산이주현황’을 분석했더니, 조사대상 임원 25명 가운데 현재 주소가 부산으로 돼 있는 임원은 8명(32%)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예탁결제원 임원 3명 가운데 주소가 부산인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한국자산관리공사는 8명 가운데 2명(25%), 기술보증기금은 7명 가운데 2명(28%)만 부산이 주소지로 돼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7명 가운데 4명(57%)이 주소를 부산으로 옮겨 4개 기관 가운데 유일하게 절반을 넘겼다.
가족의 주소까지 부산으로 옮긴 임원은 더 저조했다. 4개 기관 임원 25명 가운데 5명(20%)만 가족의 주소를 부산으로 옮겼다. 기술보증기금과 한국주택금융공사는 각각 7명 가운데 2명만 가족의 주소를 부산으로 옮겼다.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이경열 상임이사만 2014년 11월 가족의 주소를 부산으로 옮겼다. 한국예탁결제원 임원 가운데 가족의 주소를 옮긴 사람은 한 명도 없다.
이사장과 사장 등 최고 경영자들도 부산 주소 이전을 꺼렸다. 4개 기관 가운데 김재천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만 지난해 9월 부산으로 주소를 이전했다. 나머지 김한철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홍영만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유재훈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등 3명은 주소를 옮기지 않았다.
김해영 국회의원은 “부산으로 본사를 옮긴 금융분야 공공기관 임원들의 부산 이주가 부진한 것은 현지화에 역행하는 것이다. 직원들의 부산 정착률을 높이려면 임원부터 솔선수범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분야 공공기관의 한 임원은 “현실적으로 임기가 정해진 임원이 가족까지 데리고 지방으로 이사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