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이 30일 충북도 브리핑룸을 방문해 충북지역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30일 충청북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강조하며 행정자치부를 해체하는 결단을 내릴 정도로 중앙의 권한을 지방에 분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이날 저녁 6시20분께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한 충북지역 기자 간담회 자리에서 “수도권 규제 완화는 안 된다. 서울은 지방이 아니라 파리, 런던, 도쿄 등 국외 도시들과 경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중앙이 너무 많은 것을 틀어쥐고 있다. 지금 같으면 행정자치부를 해체해야 한다. 예산 등을 지방에 넘겨야 한다. 중앙은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실행은 지방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을 비롯해 안희정 충남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남경필 경기지사 등 단체장 출신 후보들의 대선 출마 움직임이 잇따르는 상황의 의미를 두고 ‘현장 경험의 중요성’으로 설명했다. 그는 “미국의 경우를 보면 현장의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메르스 사태 때 중앙이 갈피를 잡지 못할 때 과잉대응이 늑장대응보다 낫다고 판단한 것이 바로 현장 경험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정부엔 날을 세우면서도 충청권 유력 대선 후보로 부상하고 있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평가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그는 “박근혜 정부는 한마디로 불통 정부다. 우리 사회는 절망의 터널을 지나고 있다. 경제 성장 동력은 식고, 민생은 도탄에 빠졌으며, 국민 분열·갈등은 지속하고 있다. 공기업 성과연봉제 도입 등은 불통의 극치”라고 꼬집었다.
하지만 충북 출신 반 총장의 대선 출마에 대해서는 “제 결정도 쉽지 않은데 남 일을 평가하긴 어렵다. 반 총장은 우리의 자랑”이라며 답을 피했다. 다만 그는 “충북 영동 매곡에 처가가 있고, 장인 묘소에 참배했다”며 충북과 인연을 강조했다. 박 시장은 이날 아침 이시종 충북지사와 만난 자리에선 부인 강난희씨의 고향 영동을 들며 “충북의 사위”라고 하기도 했다.
그는 대선 출마 계획에 대해서는 “국가 지도자는 원한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또 원하지 않는다고 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시대의 요구, 국민의 부름이 있어야 한다. 많은 국민의 의견을 듣고, 많이 고민하고 있다”고 출마 가능성을 에둘러 내비쳤다.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도 화제가 됐다. 박 시장은 이날 이 지사와 조찬 회동을 한 뒤 1만원짜리 밥값을 따로 냈다. 그는 “법이 잘 정착돼서 부정과 청탁 등이 사라지길 기대한다. 하지만 농축산물 소비 위축 등 많은 우려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7시께부터 충북대에서 대학생·시민 등을 대상으로 특강을 하고, 2일까지 충북에 머물며 도민들을 만날 참이다. 1일 아침엔 시민사회단체 대표, 점심엔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 등 당직자들과 점심을 한 뒤 2일엔 충북 중북부권인 진천·제천 등을 찾아 시민들을 만날 계획이다.
글·사진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