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소속 연구원들이 레지오넬라균을 검사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서울지하철 4호선 사당역과 분당선 선릉역 냉각탑에서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지난 7∼9월 이용객이 많은 역과 환승역 등 15개역에서 시범적으로 레지오넬라균 검사를 한 결과 2개 역에서 검출됐다고 6일 밝혔다.
균 검출량은 사당역 2만2천CFU/L, 선릉역 1만200CFU/L로 모두 ‘요주의 범위’였다. ‘바람직한 범위’와 ‘요관찰 범위’ 다음인 ‘요주의 범위’는 2∼3주 뒤 재검사에서 균이 늘어나면 청소나 살균소독 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균 검출량이 100만CFU/L이 넘으면 즉시 화학적 청소와 살균소독을 해야 하는 ‘긴급처치범위’다.
서울시는 즉시 소독한 뒤 메트로와 분당선 등 시설관리기관에 소독을 강화하고 냉각탑과 인도 사이에 수목을 심으라고 권고했다. 질병관리본부에는 레지오넬라증 관리 지침에 지하철 냉각탑 검사를 추가할 것을 건의했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레지오넬라증 관리지침의 개정을 검토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이번에 검사한 지하철역은 1호선 서울역·신도림·종각역과 2호선 홍대입구·잠실역, 3호선 고속터미널·양재역, 4호선 사당역, 5호선 광화문역, 6호선 연신내역, 7호선 학동역, 8호선 천호역, 9호선 여의도역, 분당선 선릉역, 신분당선 강남역이다. 앞으로 매년 지하철 냉각탑 레지오넬라균 검사를 할 계획이다.
레지오넬라균은 냉각탑과 목욕탕 등 따듯하고 습기 찬 환경에서 잘 번식한다. 오염된 물 속 균이 호흡기를 통해 감염을 일으킨다. 감염되면 발열, 기침 등 감기와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 지난달 26일 기준 서울시 확진환자는 20명이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