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0월 일어나 유신정권 종말 앞당기는 계기
기념사업회, 정부의 지지부진한 진상규명 활동 비판
기념사업회, 정부의 지지부진한 진상규명 활동 비판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16일 오후 2시께 부산 중구 광복로에서 37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을 연다”고 9일 밝혔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부산과 경남 마산 등지에서 일어난 민주화 시위로 박정희 유신정권의 종말을 앞당기는 계기가 됐다.
기념식에 앞서 15일 오후 2시께 부산 중구 영주동에 있는 부산민주공원 소극장에서는 학술 심포지엄 ‘부마민주항쟁 진상규명의 쟁점과 과제’가 열린다. 심포지엄에서는 정부의 부마항쟁 진상규명 현황과 평가, 인권침해 등을 짚는다.
기념식은 16일 중구 광복로 옛 미화당백화점에서 열린다.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산하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회의 지지부진한 활동에 대한 비판·제대로 된 진상규명 및 조사를 촉구할 예정이다. 또 일본군 ‘위안부’ 협상, 주한미군의 부산항 5부두 생물무기실험실 설치, 신고리원자력발전소 5·6호기 건설 승인, 사드 배치 등 국민과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잘못된 정책을 비판할 계획이다. 이날 오후 2시30분부터 5시40분까지 부산민주공원에서는 ‘민족통일 대동 장승 굿’ 행사도 마련했다.
기념식에 이은 올해의 민주시민상 시상식에선 ‘공공의료성 확보를 위해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를 위한 진주시민대책위원회’와 ‘부산민주시민언론연합’이 상을 받는다. 또 15일부터 12월4일까지 부산민주공원 기획전시실에서 ‘부마민주항쟁 아카이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5·18 민주화운동 기록물 순회전시회’를 연다.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역사적 진실 규명과 민주항쟁으로 고초를 당한 피해자들의 명예 회복이 이뤄질 때 부마민주항쟁은 올곧게 역사에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시민들도 그 뜻에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