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문화회관, 2014년 2월부터 사회공헌위 회원사
박 시장, ‘미르게이트’ 등에 “정경유착 고리” 비판
세종 쪽 “기업 네트워킹 필요해 유지…탈퇴 논의 없어”
박 시장, ‘미르게이트’ 등에 “정경유착 고리” 비판
세종 쪽 “기업 네트워킹 필요해 유지…탈퇴 논의 없어”
서울시 산하기관인 세종문화회관이 현재까지 전국경제인연합(전경련)의 회원으로 활동 중인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미르·케이재단 관련 기업 모금 과정에 깊숙이 개입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진보와 보수를 가리지 않고 해체 요구를 받는 전경련에 시 산하기관이 계속 몸 담는 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인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최근 “전경련 해체”를 요구하고 있다.
세종문화회관은 10일 <한겨레>에 “전경련 회원사로 2014년 초 가입했고, 기업 네트워크 등의 필요성 때문에 여전히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며 “전경련 탈퇴 여부를 내부 논의한 적이 없고, 서울시 요청이나 지시도 없었다”고 밝혔다.
세종문화회관은 2014년 2월 서울시 투자·출연기관 가운데 ‘1호’로 전경련에 가입했다. 민간후원 확대 방안을 모색하라는 박 시장 지시에 따른 조처였다. 지금까지도 서울시 기관으로는 유일한 회원사다.
이후 전경련은 친정부 보수단체인 어버이연합에 수억원의 자금을 지원한 사실이 올 4월 드러나고, 최근엔 ‘미르·케이재단 게이트’까지 불거졌다. 기업은행·산업은행 등 중앙정부 쪽 공공기관마저 ‘전경련 탈퇴’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원순 시장 쪽의 태도만 보면 ‘사라져야할 단체’라면서 서울시 공기관까지 회원사로 넣어 덩치를 유지시키는 셈이다. 게다가 전경련이 ‘돈줄’ 구실을 한 어버이연합은 박 시장의 시정을 주되게 반대하는 시위를 벌여왔고 국정원이 이들 시위를 독려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박 시장은 지난 4월 “국회에 특위나 청문회가 만들어져 전경련, 국정원, 어버이연합에 대한 전면적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비판했고, 지난 3일 페이스북엔 “정경유착, 어버이연합 후원자, 전경련은 해체가 답이 아닌가요?”라고 적기도 했다.
세종문화회관은 전경련 회원사로 남아 있으면서 실리도 제대로 챙기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애초 세종문화회관이 2년8개월 전 전경련에 가입할 때 서울시의회 등에선 “공공성을 해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당시 김용석 새누리당 시의원(현재는 국민의당)은 “세종문화회관은 민법에 따른 비영리법인인데 기업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전경련에 가입했다”고 비판했다. 시의회는 박 시장에게 ‘탈퇴 지시’를 촉구한 것으로도 알려진다.
당시 시는 설명자료를 내어 “전경련은 과거 기업인들의 이익중심으로 운영되었지만, 최근 사회공헌에 대한 기업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으며, 사회공헌위원회를 두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촉진하고 (…) 국민과 함께 하는 바람직한 기업상 구현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문화회관 쪽은 “우리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회원과 달리 협회, 공단 등의 단체회원으로 가입해 연회비가 120만원(일반회원은 580만원)인데 지금껏 한번도 내진 않았다. 실질적 활동이 있는 건 아니지만 기업들과의 네트워킹 등을 기대해 회원사로 남아 있는 상태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경련 가입 뒤 후원받은 게 있느냐”는 <한겨레> 질문에 “한번도 없었다”고 답했다.
김상조 한성대 교수(경제개혁연대 소장)는 “(세종문화회관도) 기대가 있다면 전경련에 가입할 순 있다고 본다. 하지만 전경련이 그걸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게 문제다. 때문에 탈퇴해야 하고, 전경련은 해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