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성과연봉제 놓고 접점 찾지 못해…노조 두 번째 파업 돌입
부산교통공사노조(부산지하철노조)가 21일 새벽 4시부터 2차 무기한 파업에 들어간다.
부산교통공사 노사는 20일 오후 4시부터 부산 금정구 노포차량기지창에서 4시간 넘게 올해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벌였지만 성과연봉제 등 쟁점 사안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따라 노조는 21일 새벽 4시부터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2차 파업에는 3271명의 전체 조합원 가운데 필수유지 인력 878명을 뺀 2393명이 참여한다.
이에 맞서 공사는 21일부터 아침 7~9시와 저녁 6~8시 도시철도 1~3호선에 대체인력을 투입해 전동차를 평소대로 운행하기로 했다. 평일 출·퇴근 시간대를 뺀 나머지 시간대와 일요일, 공휴일에는 평상시의 70% 수준으로 운행한다. 무인으로 운영되는 도시철도 4호선은 정상 운행한다.
공사는 부산 불꽃축제가 열리는 22일엔 비상운전 인력 87명을 투입해 전동차 운행을 234차례 늘리고, 11대의 예비 전동차를 추가 배치해 축제 관람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축제 행사장 근처 역사엔 공사직원 150명과 지원 인력 등 1400여명의 안전요원을 배치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노조의 파업이 길어지면 지하철 노선과 겹치는 시내버스 운행을 늘리고 택시부제를 해제하고 전세버스를 투입하는 등 대체 교통수단을 마련할 방침이다.
앞서 부산교통공사 노사는 지난 7~9월 임금·단체교섭을 벌였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에 노조는 지난달 27일부터 나흘 동안 1차 파업을 벌였다. 공사는 파업을 이끈 노조 간부 등 40명을 직위 해제했다. 노조는 박종흠 사장 등 회사 쪽 임원 7명을 부당노동행위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후 노사는 지난 6일부터 이날까지 성과연봉제 노사합의 시행·내년에 개통할 1호선 다대선 필요 인력 신규채용·통상임금 정상화·임금 인상 등을 두고 교섭을 계속했지만 성과연봉제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정부는 지난 1월부터 운용 효율성·서비스 질 향상 등을 이유로 공공기관의 성과연봉제 전면 확대를 추진해왔다. 공공기관 노조들은 노조 동의를 받지 않고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부산교통공사노조 관계자는 “성과연봉제를 놓고 집중적으로 교섭을 벌였지만 공사는 정부·부산시 지침 등을 이유로 철회를 거부했다”고 말했다. 회사 쪽은 “(성과연봉제에 대해) 접점 없이 평행선을 달렸다. 노조가 협상을 제안하면 응할 것이다”고 밝혔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