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KAIST) 학부 총학생회는 최순실 국정농단과 관련해 27일 오후 3시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 학생회관 앞 광장에서 시국선언을 했다. 김건영 카이스트 학부 총학생회장(마이크 잡은 이)이 시국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과 관련해 카이스트(KAIST) 학부 총학생회는 27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 학생회관 앞 광장에서 시국선언을 하고 “박근혜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자격이 없고, 카이스트 명예박사 자격도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카이스트는 2008년 박근혜 당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명예박사 학위를 준 바 있다.
김건영 카이스트 학부 총학생회장은 “무책임하게도 박 대통령은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력을 철저히 사유화해 최순실이라는 사인에게 넘겨버렸다. 민주주의 가장 기본 원리인 국민 주권의 원리가 박근혜 정권과 그 비선 실세에 의해 산산이 조각난 것이다”고 규탄했다.
그는 “이런 엄혹한 상황에도 박 대통령은 진정성 없이 변명과 사실관계 축소로 일관할 뿐이다. 이 정권에게 더는 기대할 것은 남아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자유발언에 나선 카이스트 학생 조영득씨는 “박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농단에 상응하는 심판이 필요하다. 우리는 방관자가 되지 말고 더 분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재희씨도 “박근혜 정권이 집권한 뒤 국가의 여러 폭력아 자행됐다. 이 정권의 부당함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카이스트 학부 총학생회는 시국선언에 앞서 26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국선언 찬반을 물었으며, 전체 학부 학생의 40.11%가 투표에 참여해 96.7%가 찬성했다.
대전/글·사진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