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진 영덕군수와 영덕지역 사회단체 40여곳이 7일 “10년후 준공예정인 영덕 천지원전 1호기와 2호기에 대해 지질조사를 즉각 실시하고, 결과가 나올때까지 원전건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영덕군 제공
이희진 경북 영덕군수가 7일 “영덕에 건설 예정인 천지원전 2기에 대해 즉시 지질조사를 하라고 정부에 촉구하고 지질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원전건설 추진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 군수는 이날 영덕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발표한 성명서에서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군민들의 안전이다. 정부가 군민들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 달라. 신규원전 예정지역에 대해 조속한 지질조사를 해달라. 그 결과가 나올 때까지 원전건설 추진을 중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성명에는 최재열 의장 등 영덕군의원들 대부분이 이름을 올렸고 류기도 영덕문화원장, 황순옥 영덕 여성단체협의회장, 김형대 영덕 청년회의소 회장, 이재영 영덕군 장애인연합회장뿐만 아니라 전종하 영덕군 새마을회장, 신계석 한국자유총연맹 영덕군지회장, 윤정대 영덕군 보훈안보단체협의회장, 윤병목 (사)대한노인회 영덕군지회장, 박동면 바르게살기협의회 영덕군지회장 등 사회단체 40여곳이 서명했다.
이 군수는 “오늘부터 모든 원전업무를 즉시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정부와 한수원은 영덕군에서 10가지 제안사업을 추진중이다. 이 중 에너지복합단지 조성, 원자력연수원 건립, 종합복지타운조성, 의료시설 개선사업 등 4가지 사업은 곧 용역 결과가 나오면 추진할 계획이다. 영덕군관계자는 “정부와 한수원이 이 4개 사업에 대해 용역을 맡겨놓은 상태이며, 곧 결과가 나오는대로 영덕군에서 곧바로 사업을 시작하도록 돼있다. 하지만 요구조건인 지질조사가 선행되지 않으면 정부사업에 대해 협조업무를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영덕군은 2010년 12월 말 원전유치 신청을 했으며 이 신청에 따라 영덕군 영덕읍 석리와 노물리 319만㎡에 천지 원전 1호기와 천지원전 2호기가 2026년과 2027년에 각각 준공 목표로 추진돼왔다. 한수원은 현재 원전 건설예정지 땅 20%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덕지역 정가에서는 “영덕군 반핵단체들이 그동안 꾸준히 활동해온 영향으로 원전 반대 분위기가 형성돼왔다. 지난 9월 강도 5.8의 경주지진 이후 지역주민들의 전체적인 민심이 원전 폐쇄쪽으로 급격히 쏠리면서 이 군수와 보수단체, 관변단체가 서둘러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영덕군 관계자들은 “국민안전처에서 지질조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또 이 군수의 기자회견도 정부와 한수원 등과 조율을 거쳐 발표한 것으로 짐작된다. 여러 사정으로 미뤄 영덕 천지원전은 정부가 계속 추진해나가기가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박혜령(48) 영덕군핵발전소반대 범군민연대 사무국장은 “경주지진 이후 지역 민심이 급격히 반대쪽으로 쏠렸다. 느닷없이 군수와 관변단체가 나선 것은 최근 최순실 사태 등 정국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정부가 완전히 영덕 천지원전을 백지화한다는 발표가 나올때까지 반대운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4기의 원전이 현재 가동 중이며, 신고리 5호기와 6호기, 울진의 신한울 원전 3호기와 4호기가 건설준비 중이다. 이밖에 영덕 천지원전 1호기와 2호기 건설이 추진 중이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